광합성에 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5-07-27 22:57
본문
Download : 광합성에 대해.hwp
즉, 원적색광(〉680nm)과 보다 짧은 적색광을 동시에 조사하면 양자수율은 두 파장을 각각 독립적으로 조사하여 얻은 개개의 광합성율의 합보다 더 높아진다.
그러나, 700 nm의 빛을 줌과 동시에 약간 단파장의 빛, 650 nm의 빛을 함께 주면(홍조인 경우에는 575nm), 적색저하 현상이 보이지 않게 된다된다. 이를 에머슨의 상승effect(enhancement effect)라 한다. 즉, 엽록소와 다른 색소들이 흡수하는 광량자는 비슷한 효율로 광합성에 이용됨을 의미한다. 그러나, 680 nm 이상의 원적색광에서의 양자수율은 급격히 떨어졌다.
이들 현상들은 두이젠스(Duysens)의 실…(省略)
레포트/공학기술
순서
광합성에 대해
,공학기술,레포트
Download : 광합성에 대해.hwp( 23 )
광합성_명反應(반응)_암反應(반응)_c4
광합성의 명反應(반응)과 탄소고정에 대해 알아보고 광합성과 environment(환경) 요인에 관해 연구한 reference(자료)입니다.
다.
광합성의 명반응과 탄소고정에 대해 알아보고 광합성과 환경요인에 관해 연구한 자료입니다.광합성_명반응_암반응_c4 , 광합성에 대해공학기술레포트 ,






설명
1950년대 말까지 광합성 연구자들이 쉽게 설명(說明)할 수 없는 experiment(실험) 결과들이 있었는데, 그 중 하나는 광합성의 양자수율을 여러 파장에서 측정(測定) 하였을 때 관찰되는 적색저하(red drop) 현상이었다(그림 11). 클로렐라를 이용하여 엽록소가 흡수하는 빛의 파장 범위에서 양자수율을 측정(測定) 하면 거의 모든 파장영역에서 일정한 값을 보여 주었다. 이와 같이 680 nm 보다 긴 파장의 빛은 엽록소 a가 충분히 흡수하는 파장임에도 불구하고 보다 짧은 파장의 빛에 비하여 양자수율이 훨씬 떨어지는 현상을 적색저하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