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과 학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08 00:53
본문
Download : 한국전쟁과 학살.hwp
‘좌냐 우냐’ 오로지 이것만이 문제가 되었다. 후에 사상적으로 한국사회를 양분립시키는 하나의 중추적 역할을 했다. 약 20,000여 명의 양민들이 단지 그 지역에 살고 있다는 이유로 죽어갔다. 한국전쟁에서의 무고한 양민학살과정은 당시 국제정치상황과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본 보고서에는 그 내용을 심도있게 다루기 보단 학살의 사실을 파해치는데 주력하겠다. 한국전쟁은 엄격한 의미(좌·우 대립에 있어) 1950년에 일어나기 보단 그 전, 제주 4.3 이라든지 여수군민항쟁이 있었던 48년부터 스타트되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닐것이다. 여기서 양민이란 사상적으로 자유로웠던 무고한 시민(Citizen)을 말하므로 좌익, 우익과 구분된다 제주에서 일어난 일은 엄청났다.
한국전쟁,군경,우익,미군의학살
한국전쟁은 인명, 생활터전 뿐만을 앗아간 것 만이 아니었다.
양민학살의 가장 근본바탕은 바로 좌익과 우익이었다. . 그렇기 때문에 한국전쟁동안의 학살은 좌·우대립의 의미에서 전쟁 바로 전 일어났던 제주4.3과 근본적으로 그 성격을 같이한다(그러나 본 보고서에는 한국전쟁기간에 국한하겠다). 제주4.3은 말그데로 무고한 양민에 대한 우익의 ‘피의 향연’이었다. 이는 한국전쟁때, 국군 및 경…(省略)
레포트/인문사회






한국전쟁과 학살
순서
설명
한국전쟁,군경,우익,미군의학살 , 한국전쟁과 학살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한국전쟁과 학살.hwp( 41 )
다. 중도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