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C] 해고시기의 제한과 관련 한 법적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14 04:08
본문
Download : 해고시기의 제한과 관련한 법적 연구.hwp
2. 업무상 부상/질병의 요양을 위해 휴업한 기간과 그 후 30일간
1) 업무외 부상/질병의 경우
해고가 금지되는 것은 업무상 부…(skip)
해고시기의 제한과 관련 한 법적 연구
해고시기의 제한과 관련 한 법적 연구 , 해고시기의 제한과 관련 한 법적 연구법학행정레포트 , 해고시기의 제한과 관련 한 법적 연구
레포트/법학행정
순서
설명
해고시기의,제한과,,관련,한,법적,연구,법학행정,레포트




다. 이는 4인 이하의 사업장에도 적용된다
2. 취지
해고시기의 제한규정은 근로자가 노동력을 상실하거나 effect적인 구직활동이 불가능한 기간에 근로자를 실직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여 근로자의 생존권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3. 논의의 전개
이하에서는 해고가 근지되는 기간과 그 예외에 상대하여 살펴보고, 해고금지기간과 해고예고기간의 관계에 상대하여도 검토키로 하겠다.
Download : 해고시기의 제한과 관련한 법적 연구.hwp( 62 )
해고시기의 제한과 관련 한 법적 연구
해고시기의 제한과 관련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Ⅰ. 서설
1. 의의
사용자는 i) 근로자가 업무상 부상 또는 질병의 요양을 위하여 휴업한 기간과 그 후 30일간, ii) 산전/산후의 여성이 근로기준법에 따라 휴업한 기간과 그 후 30일간 및 iii) 남녀고용평등법상 육아휴직기간 동안은 해고하지 못한다.
Ⅱ. 해고금지기간
1. 서
해고금지기간은 i) 근로자가 업무상 부상 또는 질병의 요양을 위하여 휴업한 기간과 그 후 30일간, ii) 산전/산후의 여성이 근로기준법에 따라 휴업한 기간과 그 후 30일간 및 iii) 남녀고용평등법상 육아휴직기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