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의 영토조항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13 15:35
본문
Download : 헌법의 영토조항 문제.hwp
2 국가보안법의 근거를 3조가 아닌 37조 2항에서 구한다.
판례의 태도
1) 대법원
북한지역역시 대한민국의 영토에 속하는 한반도의 일부를 이루는 것이어서 대한민국의 주권이 미친다…(To be continued )



Download : 헌법의 영토조항 문제.hwp( 65 )
헌법의 영토조항 문제
헌법의 영토조항 문제에 관하여 학자별 학설과 판례를 비교하여 정리하였습니다헌법의_영토조항_문제 , 헌법의 영토조항 문제법학행정레포트 ,
,법학행정,레포트
학자별 학설과 판례를 비교하여 정리하였습니다
다.
헌법의 영토조항 문제에 관하여
헌법의_영토조항_문제
설명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대한민국헌법의 영토조항의 문제
: 평화통일조항(4조)과의 부조화
우리헌법은 제3조에서 “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라고 규정함으로써 대한민국의 주권이 당연히 북한지역에 미친다고 해석되고 그 결과 북한政府(정부)는 불법무역집단이 되어 북한政府(정부)에 대한 경찰력(무력)행사를 당연히 할 수 있게 된다 즉 북진(전쟁)에 의한 통일이 가능하다는 해석이 가능한 바 이것이 헌법 제 4조 평화 통일원칙과 상호배치된다는 drawback(걸점)이 있다아
학설의 태도
1) 3조와 4조의 모순을 긍정하는 태도
1.3조를 헌법변천의 예로 보아 그 규범력을 상실했다고 보는 견해(김철수)
2.규범에 대한 긴법우선,비현실에 대한 현실우선의 입장에서 3조를 실질적으로 폐지되었다고 보는 견해(권영성)
203조와 4조는 상호보완관계에 있다고 보는 견해(최대권)
1.3조는 저권이 미치는 영역을 선언한 것이 아닌 한 민족의 생활근거지의 선언 또는 통일 염원의 선언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