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 미신고 시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0 07:20
본문
Download : 미신고시설발표자료수정본.hwp
- (표 참고 說明(설명) ) 시설의 증가비율을 보면, 신고 시설은 1995년 778개소에서 2003년 952개소로 22.4%(1.2배) 증가하였는데 반해, 미신고 시설은 1995년 293개소에서 2003년 1,008개소로 무려 244%(3.4배)나 증가하였다. [이용대상]
Ⅰ. 들어가는 글
한 순간의 실수든 타인에 의한 유괴든, 아이를 잃어버린 부모들은 아이를 찾기 위해 전국의 아동보호시설은 물론 고아원, 학교 등을 찾아가는 것을 마다하지 않는다.
[기획취재]`미 신고 아동 보호시설`을 파헤친다





4. 미신고 시설의 現況(현황) 에 대한 기사
미신고 시설,미신고 시설의 문제점,사회복지시설,미 신고 아동 보호시설,그룹홈의 난립,해결방안,보건복지부
3. 미신고 시설의 現況(현황)
다. 미 신고 시설은 말 그대로 政府에 신고 또는 등록하지 않은 아동보호시설을 뜻한다. 즉, 政府가 1997년 무허가 사회복지시설을 양성화하기 위해서 「사회복지사업법」을 개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미신고 사회복지시설의 양성화의 움직임은 활발하지 않은 상황이라 볼 수 있따
Ⅴ. 結論
`미 신고 아동보호시설에선 아이들을 노출시키지 않아요“
2. 미신고 시설의 운영주체
Download : 미신고시설발표자료수정본.hwp( 68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2. 연구목적과 범위
1. 미신고 시설의 정이
Ⅱ. 미신고 시설의 實態
1. 미신고 시설의 정이
2. 현재 미신고 시설의 활성화 measure(방안)
4. 미신고 시설의 現況(현황) 에 대한 기사
3. 쟁점을 둘러싸고 있는 미신고 시설의 결점
2. 부정적 측면
1. 문제제기 -미신고 시설의 생기고 존속하는 이유
[중요] 미신고 시설
1. 정책적인 보건복지부의 추진사항
전단지를 뿌리고 아동센터에 신고하고 길거리를 배회하면서까지 아이를 찾던 부모들이 미아 찾기에 조금은 익숙해질(?) 무렵 찾는 곳이 바로 미 신고 아동보호시설(이하 미 신고 시설)이다.
Ⅳ. 미신고 시설의 해결measure(방안)
4. 미신고 시설의 쟁점에 대한 기사
미신고 시설의 생기고 존속하는 이유
Ⅲ. 미신고 시설의 결점(쟁점)
- 미신고 사회복지시설은 신고 사회복지시설에 입소할 수 없는 대상자를 수용, 보호함으로써 신고시설에서 수용할 수 없는 복지욕구를 보완, 대체하는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제도권 내의 신고시설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는데 있따
- ① 미 신고 아동 보호시설의 `현주소`
순서
1. 긍정적 측면
미신고 시설의 생기고 존속하는 이유 [이용대상]
- 미신고 사회복지시설이란 시설생활자들에게 보호, 치료, 자립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마련된 장소, 설비, 건조물로서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신고하지 않았기 때문에 公式(공식)적인 재정적 행정적 지원을 받지 못하고 국가의 제도권 밖에서 비公式(공식)적으로 사회복지사업을 수행하는 시설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