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 권리의객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6-05 14:16
본문
Download : [법학] 권리의객체.hwp
이른바 재산권의 객체가 되는 것으로서 민법 제563조에 매매의 객체로서 재산권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재산권의 내용이 될 수 있는 것은 이를 권리의 객체라 할 수 있다
(7) 그러나 민법 제98조는 위에 본 재산권의 객체라는 의미로 사용치 않고 그 범위를 유체물 및 관리할 수 있는 자연력으로 사용하고 있다 전자는 물리적으로 일정한 공간을 차지, 외형상 그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는 구체적 목적물이며, 후자는 관념상 그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는 대상 등인데, 민법은 이와 같이 극히 협소한 물건의 관념을 설정했다.
2. 물 건
(1) 물건이란? : 민법상 물건이라함은 유체물 뿐 아니라 전기 기타 관리할 수 있는 자연력을 포함한다(제98조).
(2) 민법상의 물건의 요건
1) 유체물이거나 또는 관리가능한 자연력일 것 : 유체물이란 공간의 일부를 차지하고 사람의 오감에 의해 지각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진 물건을 말한다. 예를 들면 부동산, 자동차, 임대료청구권, 발명, 저작, 특허권, 각종의 유가증권, 매매대금청구권, 보수청구권, 회사의 고객사용관계, 다방, 요정 마담의 고객유치능력, 걸인의 수증활동구역, 사청소자(쓰레기줍기)의 수거활동구역 등 모든 재산적 가치있는 대상을 의미한다.
Download : [법학] 권리의객체.hwp( 27 )
![[법학]%20권리의객체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2%95%ED%95%99%5D%20%EA%B6%8C%EB%A6%AC%EC%9D%98%EA%B0%9D%EC%B2%B4_hwp_01.gif)
![[법학]%20권리의객체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2%95%ED%95%99%5D%20%EA%B6%8C%EB%A6%AC%EC%9D%98%EA%B0%9D%EC%B2%B4_hwp_02.gif)
![[법학]%20권리의객체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2%95%ED%95%99%5D%20%EA%B6%8C%EB%A6%AC%EC%9D%98%EA%B0%9D%EC%B2%B4_hwp_03.gif)
![[법학]%20권리의객체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2%95%ED%95%99%5D%20%EA%B6%8C%EB%A6%AC%EC%9D%98%EA%B0%9D%EC%B2%B4_hwp_04.gif)
![[법학]%20권리의객체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2%95%ED%95%99%5D%20%EA%B6%8C%EB%A6%AC%EC%9D%98%EA%B0%9D%EC%B2%B4_hwp_05.gif)
![[법학]%20권리의객체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2%95%ED%95%99%5D%20%EA%B6%8C%EB%A6%AC%EC%9D%98%EA%B0%9D%EC%B2%B4_hwp_06.gif)
다. 이런 의미에서 재산은 이미 그의 정태적인 객관적 실재로서 경제적 생활영역에 국한하지 않고 사회?정치적 影響(영향)을 행사하게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