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공리주의 윤리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09 07:34
본문
Download : [교양]공리주의 윤리설.hwp
[교양]공리주의 윤리설
공리주의 윤리설
(1) 공리주의(Utilitarianism, 公利主義 또는 功利主義)의 출발점
* 칸트의 의무론과 더불어 가장 큰 호소력을 지니는 규범 윤리학의 체계 중의 하나인 공리주의는 기본적으로 목적론적인 태도를 취한다. 즉 어떤 행위의 결과가 추구하는 목적에 도움이 된다면 그 행위는 옳은 행위이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그 행위는 그른 행위이다. 의무론적인…(drop)(2) 벤담의 양적 공리주의
![[교양]공리주의%20윤리설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6%91%5D%EA%B3%B5%EB%A6%AC%EC%A3%BC%EC%9D%98%20%EC%9C%A4%EB%A6%AC%EC%84%A4_hwp_01.gif)
![[교양]공리주의%20윤리설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6%91%5D%EA%B3%B5%EB%A6%AC%EC%A3%BC%EC%9D%98%20%EC%9C%A4%EB%A6%AC%EC%84%A4_hwp_02.gif)
![[교양]공리주의%20윤리설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6%91%5D%EA%B3%B5%EB%A6%AC%EC%A3%BC%EC%9D%98%20%EC%9C%A4%EB%A6%AC%EC%84%A4_hwp_03.gif)
![[교양]공리주의%20윤리설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6%91%5D%EA%B3%B5%EB%A6%AC%EC%A3%BC%EC%9D%98%20%EC%9C%A4%EB%A6%AC%EC%84%A4_hwp_04.gif)
![[교양]공리주의%20윤리설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6%91%5D%EA%B3%B5%EB%A6%AC%EC%A3%BC%EC%9D%98%20%EC%9C%A4%EB%A6%AC%EC%84%A4_hwp_05.gif)
![[교양]공리주의%20윤리설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6%91%5D%EA%B3%B5%EB%A6%AC%EC%A3%BC%EC%9D%98%20%EC%9C%A4%EB%A6%AC%EC%84%A4_hwp_06.gif)
교양,공리주,윤리설,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Download : [교양]공리주의 윤리설.hwp( 86 )
[교양]공리주의 윤리설 , [교양]공리주의 윤리설인문사회레포트 , 교양 공리주 윤리설
순서
[교양]공리주의 윤리설
다. 즉 어떤 행위가 모든 도덕적 행위자가 행해야 하는 의무에 속하는 것일 경우 그 행위는 옳지만 의무에 반하는 것일 경우 그 행위는 그르다. 바꾸어 말하면 한 사람이 어떤 행위를 한 결과나 모든 사람이 어떤 행위를 한 결과가 좋다면 그 행위는 옳은 행위가 된다는 것이다. 목적론적인 윤리설에서는 옳고 그름이 좋고 나쁜 결과에 의존한다고 말할 수 있따 반면에 의무론적인 윤리설에서는 어떤 행위를 옳거나 그르게 만드는 것은 행위의 결과가 아니라 행위 자체의 종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