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2 사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18 09:02
본문
Download : 1212.hwp
당연히 박정희 정권의 비호를 받을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12.12 사태
개요, 1.정승화 계엄사령관 겸 육군참모총장의 강제연행, 2.진압군 측 주요 지휘관의 격리작전, 3.반란군측 지휘소 설치, 4.대통령 공관 점령 및 강제 재가요구, 5.불법병력동원 및 국방부와 육군본부의 불법점령, 6.진압군측의 병력동원 방해와 주요지휘관 불법체포, 7.군사반란의 성공과 대통령의 사후재가, , 자료크기 : 28K
레포트/인문사회
12.12군사반란의 주체세력인 군내 사조직인 하나회의 전신은 '五星會'라고 하는 데에 이 조직은 육사 11기 생도시절인 1954년 봄경 '松竹會'(38선 이북출신 주류 모임)에 대응하기 위하여 결성된 친목을 목적으로 하는 영남 출신자들의 단순 사조직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10.26으로 그의 중심 기반이던 박정권이 무너지고 곧 있은 11월 인사이동때 하나회 맴버들의 제외와 합수부장의 보임을 맡은 전두환 보안사령관의 도가 지나친 월권행위로 말미암은 계엄사령관 겸 육군참모총장인 정승화 육군 대장과의 잦은 마찰로 육군 수뇌부와 골이 깊은 불신감이 팽배해지자 정승화 총장이 노재현 국방장관에게 전두환 소장의 보직…(省略)
순서
설명





12.12사태,군사정권,전두환,반란,인문사회,레포트
개요, 1.정승화 계엄사령관 겸 육군참모총장의 강제연행, 2.진압군 측 주요 지휘관의 격리작전, 3.반란군측 지휘소 설치, 4.대통령 공관 점령 및 강제 재가요구, 5.불법병력동원 및 국방부와 육군본부의 불법점령, 6.진압군측의 병력동원 방해와 주요지휘관 불법체포, 7.군사반란의 성공과 대통령의 사후재가, , FileSize : 28K , 12.12 사태인문사회레포트 , 12.12사태 군사정권 전두환 반란
Download : 1212.hwp( 82 )
다. 하지만 임관 후 5.16을 맞은 五星會는 '七星會'로 탈바꿈을 하여 하나회의 모체가 되고 말았다고 역사(歷史)학자들은 평하고 있따 이 七星會의 리더인 전두환 대위는 5.16당시 육사 생도들에 의한 지지데모를 주도한 공로로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의 격려(회식 및 '一心' 휘호등)를 받으므로서 군내에 친위세력성 사조직을 확대해 나가기 처음 하였던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