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악한 특수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25 09:10
본문
Download : 열악한 특수교육.hwp
그러나 현재 제대로 시행되고 있는 것은 ‘장애학생 도우미 제도’뿐이다. 그나마 도우미 제도도 일괄적으로 30명의 봉사장학생을 선정했기 때문에 전체 장애학생 수에 비해 도우미 숫자…(skip)
다. 현재 서울대에는 대학원생을 포함해 모두 56명의 장애학생이 다니고 있다 학교 쪽은 지난해 △장애인 전용 순환버스 도입 △장애인 지원센터 설립 △장애학생 도우미 제도 시행 등을 약속했다. 첫날 1인 시위에 나선 박윤정(경영2·청각장애 2급)씨는 “수업이 안들려 지난해 1학기에 3과목, 2학기에 4과목의 수강을 포기했다”며 “교수님 말씀을 옮겨줄 수 있는 도우미 등을 더 늘리는 등 장애학생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촉구했다.
교육사회학$ , 열악한 특수교육인문사회레포트 ,
교육사회학$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열악한 특수교육
순서
설명
Download : 열악한 특수교육.hwp( 31 )
◉사회적 의식 측면의 결점◉
①사회적 무관심
<사례(instance) 1- 한겨레신문 2003/04/27 기사>
학생 뽑아놓고 학습권보장 무대책” 서울대 장애학생들 1인시위
난청에 수강 포기, 계단·턱에 발묶여
“뽑기만 해놓고, 수업받을 環境(환경)을 만들어주지 않으면 장애학생들은 어떻게 공부합니까”
서울대 장애인 학생들이 7일부터 다음달 9일까지 교내 대학본부 건물 앞에서 장애학생의 교육권 보장을 요구하는 1인 시위에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