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에 나타나는 여성관에 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29 15:29
본문
Download : 한국사에 나타나는 여성관에 대한 고찰.hwp
한국사개관[1][1] , 한국사에 나타나는 여성관에 대한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한국사에 나타나는 여성관에 대한 고찰.hwp( 88 )
다. 김은부는 그 덕에 벼슬이 형부시랑과 호부상서를 거쳐 나중에는 창국공신, 안산군개국후에 이르렀다. 12세기에 이르러 이 같은 풍조는 더욱 심해졌다.
11세기에 영주 안산현 사람 김은부는 공주에서 재직 시에 거란족의 침입으로 인해 피난 중인 현종(재위 1009~1031)에게 두 딸을 바쳐 잠자리 시중을 들게 했다. 두 딸은 모두 현종의 왕후(원성왕후, 원혜왕후)가 되었다. 고려사에 보면 왕건과 관계했던 여인들 중 한 아비의 두 딸도 있었는데 이 여인들은 왕건이 돌아보지 않게 되자 절에 들어가 비구니가 되었다. 자신을 찾아온 손님에 대한 접대로 딸을 하룻밤 잠자리의 선물로 제공하는 事例도 있었다. 왕건은 잠자리를 같이한 후 그 여인의 아버지인 호족의 `세력`이 쓸만하면 여인을 데려다가 자신의 처첩으로 삼고, 그렇지 않으면 하룻밤을 함께 지낸 것으로 그쳤다. 고려 태조 왕건(재위 918~943)이 왕국을 세우는 과정에서 지방의 호족들은 왕건이 가는 곳마다 그의 딸들을 바쳐 왕건의 잠자리 시중을 들도록 했다.
10세기, 고려시대에 이르면 남성들의 여성관은 눈에 띌 정도로 변질된다된다.
한국사개관[1][1]






,인문사회,레포트
한국사에 나타나는 여성관에 대해 고찰한 data(資料)입니다.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설명
한국사에 나타나는 여성관에 대한 고찰
한국사에 나타나는 여성관에 대해 고찰한 자료입니다. 이로 인해 왕건은 29명의 `후`와 `부인`(첩)을 두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