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academy.co.kr 지식과 조직 : 지식시장과 지식공동체 관점 > sbsacademy7 | sbsacademy.co.kr report

지식과 조직 : 지식시장과 지식공동체 관점 > sbsacademy7

본문 바로가기

sbsacademy7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지식과 조직 : 지식시장과 지식공동체 관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14:42

본문




Download : 지식과조직지식시장과지식.hwp




지식경영은 현대 기업의 가장 중요한 자원으로 대두된 지식을 efficacy적으로 창출, 공유, 확산시킬 수 있는 조직구조와 업무 프로세스, 그리고 기술적 기반 등을 탐구하는 것으로 연구와 실천 양 측면에 걸쳐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Myers, 1996; Ruggles, 1997; 포스코경영연구소, 1998; 이순철, 1999; 한국지식경영학회, 2000). 그렇지만 지식경영을 위한 연구나 실천의 내용을 보면 당장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다고 기대되는 정보기술 중심의 접근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조직구조나 조직행동 차원의 접근은 상대적으로 빈약함을 알 수 있다. 즉, 이 논문은 지식-조직 관계에 대한 규범적인 연구를 통해 미래 조직의 change(변화)를 연역적으로 展望해 보려는 시도이다.

장승권·정명호·김영수 (2000), Internet 지식벤처의 성공조건,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지식과 조직 : 지식시장과 지식공동체 관점

다. 특히 지식이라는 연구주제의 폭과 깊이에 비추어 볼 때, 지식과 조직간의 관계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은 대단히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지식사회의 면모가 나날이 심화됨에 따라서 “지식경제 시대에 지속적으로 번영하기 위해서 기업조직은 어떻게 change(변화)되어야 할 것인가”라는 문제에 경영자들과 기업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list_blank.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Axelrod, R. (1984), The Evolution of Cooperation, New York, Basic Books.
최근 몇 년 동안의 環境(환경)change(변화)는 선지자들이 예견했던 정보화, 지식화의 물결이 이미 본격적으로 전개되고 있음을 실감케 해주고 있다. 지식경제나 지식사회와 같은 말들이 미래학자들이 만들어낸 유행어가 아니라 이미 우리의 현실이 되어버렸다. 따라서 지식사회의 조직change(변화)를 展望할 수 있는 theory(이론)적 연구의 피료썽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지식경제 시대의 조직이 어떤 조직이 되어야 하고, 어떻게 운영해야 하는가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이 없이 몇몇 현실 조직들의 단편적 事例(사례)들로 change(변화)의 정당성을 대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지식경영 지식시장 KM / 구니모토 류이치, 이태복(역) (1996), 교세라의 아메바 조직, 서울, 창현출판사. 이순철 (1999), 지식경영의 이해,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장승권·정명호·김영수 (2000), 인터넷 지식벤처의 성공조건,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정명호 (2000a), “Ikujiro Nonaka의 지식창조이론”, 오석홍·손태원·하태권 (편), 조직학의 주요 이론(제2판), 서울, 법문사, 420-429. 정명호 (2000b), “지식경제시대의 기업지배구조”, 이선·좌승희·정광선·김용구 (편), 한국 기업지배구조의 현재와 미래, 서울, 미래경영개발연구원, 421-454. 정명호·장승권 (1998), “복잡성 이론과 조직학습: 자기조직적 질서와 발현적 학습의 모색”, 인사·조직연구, 제6권, 제2호, 37-80. 포스코경영연구소 (1998), 지식경영, 서울, 더난출판사. 한국지식경영학회 (2000), 학술심포지엄 자료집. Axelrod, R. (1984), The Evolution of Cooperation, New York, Basic Books. Barnard, C. (1938), The Functions of the Executiv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own, J. S. and P. Duguid (1998), “Organizing Knowledge”, California Management


Ⅱ. 지식과 조직지식과 조직: 지식시장과 지식공동체 관점
지식경영 지식시장 KM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정명호 (2000a), “Ikujiro Nonaka의 지식창조理論”, 오석홍·손태원·하태권 (편), 조직학의 주요 理論(제2판), 서울, 법문사, 420-429.

Ⅵ. 맺음말
지식시장은 조직을 지식이 거래되는 장소로 파악하고, 이러한 거래를 촉진시킬 수 있는 plan들을 살펴본다. 아울러 각 조직이 지식의 활용과 창조 중 어느 측면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지식경영의 실천전략 역시 달라져야 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지식경제시대에 조직의 가장 중요한 목표(goal)는 지식의 창조와 efficacy적인 활용이기 때문에 지식의 창조와 활용을 촉진하는 조직의 원리들을 찾아보아야 한다.


이순철 (1999), 지식경영의 이해,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포스코경영연구소 (1998), 지식경영, 서울, 더난출판사.
정명호 (2000b), “지식경제시대의 기업지배구조”, 이선·좌승희·정광선·김용구 (편), 한국 기업지배구조의 현재와 未來(미래), 서울, 未來(미래)경영개발연구원, 421-454.
지식경영 지식시장 KM / 구니모토 류이치, 이태복(역) (1996), 교세라의 아메바 조직, 서울, 창현출판사.


Ⅰ. 머리말

Barnard, C. (1938), The Functions of the Executiv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 지식의 본질
2. 지식시장과 지식공동체
순서

이 논문은 ‘지식과 조직’ 연구의 최근 동향에 문제의식을 갖고, 지식경제시대에 요구되는 조직형태와 characteristic(특성)을 도출할 수 있는 theory(이론)적 근거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한편, 지식공동체는 이기적인 지식거래가 아니라 집단적 실천을 통해 지식을 창조하는 조직의 또 다른 측면에 주목한 것으로써, 주로 지식창조에 관련된 문제들을 다루게 된다 이 두 관점은 지식조직의 구조와 운영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conclusion 적으로 이 논문은 지식조직은 지식시장과 지식공동체의 성격이 통합된 조직이고, 따라서 이러한 양 측면을 통합할 수 있는 ‘독립 소기업 네트웍’이 미래 조직의 유력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아시아 일부 국가에서 국지적으로 시작되었던 외환위기가 광속(光速)의 정보 네트웍을 매개로 순식간에 세계적 규모의 경제위기로 확산되는가 하면, 불과 십여 년 전에 벤처기업으로 출발한 지식기업(knowledge-intensive firm: KIF)들이 세계적인 유수 기업으로 성장하였다.



Ⅲ. 지식시장(Knowledge Market) 관점
설명

Download : 지식과조직지식시장과지식.hwp( 39 )


Brown, J. S. and P. Duguid (1998), “Organizing Knowledge”, California Management

정명호·장승권 (1998), “복잡성 理論과 조직학습: 자기조직적 질서와 발현적 학습의 모색”, 인사·조직연구, 제6권, 제2호, 37-80.

한국지식경영학회 (2000), 학술심포지엄 자료(data)집.
이런 관심을 반영하듯 최근 기업현장과 학계에서는 지식경영에 관한 연구와 실천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지식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로부터 출발하여, 조직을 지식시장(knowledge market)과 지식공동체(knowledge community)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고찰해 볼 것이다.
Total 15,731건 815 페이지

검색

REPORT 11(sv76)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sbsacademy.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sbsacademy.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