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實驗(실험) - 산 해리 평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8 18:36
본문
Download : 일반화학실험 - 산 해리 평형.hwp
pKa = -logKa
순서
그런데 H+이온이 하나 생길 때마다 A-이온도 하나씩 생기므로 [H+]=[A-]=x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 평형 상태에서 약산의 농도, [HA]‘는 [HA]0-x로 주어진다. 한 단계 더 나아가 약산이 해리하는 특성을 알아보고 산-해리 평형의 상태를 예측해볼 수 있다.①
로 나타낼 수도 있다. 따라서 산-해리 평형상수는
이고 pH가 7보다 크면 염기성, pH가 7이면 중성, pH가 7보다 작으면 산성이다. 그리고 pH를 통해 두 가지 미지 시료의 산해리상수를 구하여 미지시료를 결정한다.
이번 experiment(실험)에서는 pH meter라는 기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기기는 매우 정교한 기기이므로 조심스럽게 다뤄야 한다.
다. 유리전극을 1분 이상 대기 상에 놔두면 손상되므로 증류수에 넣어놓거나 아니면 용액 속에 담가두어야 한다.





pKa,는 pH와 비슷하게 생각하면 되는 관념으로 pH가 [H+]에 -log를 취한 것처럼 Ka에 -log를 취한 것이다.
experiment(실험) 결과를 정확히 이해하려면 pH, Ka 등의 관념을 정확히 정의(定義)해야 한다. 먼저
Ka = x2 / ([HA]0-x)
이번 실험에서는 pH meter를 사용해 pH를 측정하고, pH와 Ka, x=[H+]의 관계식을 통해 Ka와 pKa, % 해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설명
이번 實驗(실험)에서는 pH meter를 사용해 pH를 측정하고, pH와 Ka, x=[H+]의 관계식을 통해 Ka와 pKa, % 해리도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pH를 통해 두 가지 미지 시료의 산해리상수를 구하여 미지시료를 결정한다.
HA ↔ H+ + A-와 같이 해리하는 약산의 경우에 산-해리 평형상수(Ka)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한 단계 더 나아가 약산이 해리하는 특성을 알아보고 산-해리 평형의 상태를 예측해볼 수 있다
Download : 일반화학실험 - 산 해리 평형.hwp( 42 )
Ka = [H+][A-] / [HA]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pH = -log10[H3O+]
산 해리 평형,산-해리
일반화학實驗(실험) - 산 해리 평형
마지막으로 %해리도는 ([H+] / [HA]‘) × 100(%) = (x / [HA]‘) × 100(%)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