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역학실험 - 인장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03 17:50
본문
Download : 재료역학실험 - 인장실험.hwp
이 후 계속적인 소성변형을 하기 위해서는 소성변형률이 증가함에 따라 응력이 증가하는 금속가공경화가 일어난다. 가공경황에 기인된 변형하중의 증가보다 시편 단면적의 감소가 큰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된다.
공칭응력-공칭변형률곡선에 사용한 공칭응력은 인장시편의 세로방향(인장방향)으로서 mean(평균)응력(average stress)이며, 시편에 작용하는 하중 P를 시편의 초기 원단면적(original area) A₀으로 나눈 값으로 definition 한다
소성변형이 일어나는 동안 시편의 체적은 일정하므로 즉 A₀l₀=Al이므로 시편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시편의 표점거리 내의 단면적은 감소한다.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6) nominal & true stress-strain curve
(3) 항복의 측정(measurement)





다. 인장시험에서 얻어지는 이러한 재료의 기계적 성질의 측정(測定) 값은 기계 설계에 있어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재료의 강도 및 강성에 대한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3. 인장시험의 실험방법
(1) 공칭응력(nominal stress) σ
2. 인장시험의 theory
Download : 재료역학실험 - 인장실험.hwp( 81 )
4. 인장시험의 결과
재료역학실험,인장실험,인장시험
5. 인장시험의 고찰 및 conclusion
1. 인장시험의 목적
2. 인장시험의 理論
(2) 공칭변형률
재료역학실험 - 인장실험
(1) 공칭응력
1. 인장시험의 목적 2. 인장시험의 이론 (1) 공칭응력 (2) 공칭변형률 (3) 항복의 측정 (4) 인장강도 (5) 연신율과 단면수축율의 측정 (6) nominal & true stress-strain curve 3. 인장시험의 실험방법 4. 인장시험의 결과 5. 인장시험의 고찰 및 결론 6. 참고문헌
(4) 인장강도
설명
탄성영역에서는 응력이 변형률과 직선적으로 비례한다.
6. reference
인장시험은 규정된 형상의 시험편을 제작하고 규정도니 시험기를 사용하여 시험편의 양단에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단축하중을 가하면서 발생되는 변형의 정도 즉, 연신을 관찰하여 하중과 변형의 관계를 표시함으로써 재료의 제반 기계적 성질을 측정(測定) 하는 시험법이다. 초기의 가공경화는 이 단면적의 감소를 보상하는 것보다 크며, 따라서 변형률이 증가함에 따라 공칭응력도 계속적으로 증가한다.
순서
(5) 연신율과 단면수축율의 측정(measurement)
인장시험은 재료에 인장하중이 가해졌을 때 변형량이 얼마나 되는 가를 측정(測定) 하여 재료의 변형에 대한 저항의 정도를 측정(測定) 하는 것이다. 인장시험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재료의 기계적 성질은 탄성변형에 대한 저항력인 종 탄성계수(Elastic Modulus)와 항복강도(Yield Strength), 소성변형에 대한 저항력인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그리고 변형 용이성에 해당되는 연신율과 단면수축율 등이다. 하중이 항복강도에 해당하는 값을 초과할 경우 시편은 전체적인 소성변형을 겪게 되며, 만약 하중이 제거되더라도 이 때의 소성변형은 영원히 남게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