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academy.co.kr [기독교교육철학] 매트릭스를 통해 본 이데아 > sbsacademy7 | sbsacademy.co.kr report

[기독교교육철학] 매트릭스를 통해 본 이데아 > sbsacademy7

본문 바로가기

sbsacademy7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기독교교육철학] 매트릭스를 통해 본 이데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1 07:48

본문




Download : matrix를_통해_본_idea.hwp




그러나 인간의 이데아를 실제의 건전지와 같은 인간으로 해석한다면 매트릭스 속에서의 차와 건물들은 어떻게 설명(說明)할 수 있을까? 오라클과 메로빈지언과 같은 가상현실에서는 인간의 형상이지만 실제로는 호로그램들인 그들은 어떻게 설명(說明)할 수 있을까? 물론 인간 이외의 존재들은 컴퓨터호로그램이란 이데아를 가지고 있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그런 해석은 일리가 있고 타당성이 있다 또한 본연의 모습이 이데아란 면에서 올바른 해석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너무 실재적이고, 현실적이며 매트릭스의 세계를 건전지로 이용되는 인간과 호로그램으로 단순하게 구분하게 만든다. 그리고 이렇게 단순하게 구분된 이데아는 매트릭스의 세계의 여러 특성을 가진 호로그램들에 대한 고찰을 필요 없게 만들게 된다.

이데아(Idea)는 육안으로는 인식되지 않지만 그 본연의 모습을 의미한다.)와 같은 대사는 장자의 소요유(消遙遊)와 통하는 부분이 있다 영화 속에서의 네오 역시 한 어린아이의 조언인 ‘숟가락은 없다. 서두에서도 언급한 바 있는 모피어스의 대사, Have you ever had a dream, Neo, that you were so sure was real? What if you were unable to wake from that dream? How would you kn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eam world and the real world?(진짜 현실 같은 꿈을 꾸어 본적이 있나? 그런 꿈에서 깨어난다면 그것이 꿈인지 생시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는 장자의 한 대목인 호접지몽(胡蝶之夢)의 ‘도대체 장주가 꿈에 나비가 되었을까? 아니면 나비가 꿈에 장주가 된 것일까?’란 인식과 닮아있다
순서

Download : matrix를_통해_본_idea.hwp( 84 )


매트릭스에서 이데아는 실제의 모습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매트릭스에서의 인간의 이데아는 가상현실이 아닌 실제의 현실에서 기계의 건전지로 이용되고 있는 인간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그저 한 덩어리의 호로그램일 뿐이기 때문일것이다
매트릭스를 통해 본 이데아 감상문입니다. 말은 말로서의 본연의 모습이 존재하고, 사람은 사람으로서의 본래의 모습이 존재한다는 주장이다.’란 말의 의미를 깨닫고 매트릭스 세계에서 보이는 현실의 편견을 뛰어넘어 그 본질인 코드를 보게 되었을 때 초인적인 힘을 발휘하게 된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매트릭스, 기독교교육철학, 플라톤, 동굴의비유, 이데아




다. matrix를_통해_본_idea-1803_01.gif matrix를_통해_본_idea-1803_02_.gif matrix를_통해_본_idea-1803_03_.gif matrix를_통해_본_idea-1803_04_.gif matrix를_통해_본_idea-1803_05_.gif








[기독교교육철학] 매트릭스를 통해 본 이데아
여기서 플라톤의 이데아(Idea)를 떠올릴 수 있다
설명




또한 점프훈련을 하기 전에 모피어스가 네오에게 하는 Let it all go, Neo. Fear. Doubt. Disbelief. Free your mind.(모든 걸 버려, 네오. 두려움. 의심. 불신까지 마음을 자유롭게 해줘.)란 대사와 There is no spoon.(숟가락은 없다. 그렇다면 영화 매트릭스에서의 이데아는 무엇일까?



Matrix에서의 Idea, 그리고 동굴의 비유

매트릭스를 통해 본 이데아 감상문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네오가 초인적인 힘을 발휘하게 될 수 있었던 이유는 매트릭스에서 보이는 현실이라는 편견을 뛰어넘은 소요유의 힘이기도 하지만 매트릭스의 현실을 코드라는 본질로 볼 수 있었기 때문일것이다
또 한 가지 매트릭스에서 나타나는 철학적인 요소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장자에 의한 effect이다.
Total 15,731건 674 페이지

검색

REPORT 11(sv76)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sbsacademy.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sbsacademy.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