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중터널 트렌치공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5 19:46
본문
Download : 수중터널 트렌치공법.hwp
설명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해저도시를 지으려면 일단 햇빛이 들어오는 곳이어야 한다.
다. 해저도시의 외부는 바닷물의 압력을 버텨내야 하며 동시에 도시 내부는 육상과 동일한 1기압을 유지해야 한다. 이필승 KAIST 해양시스템工學(공학) 전공 교수는 “돔 구조는 구조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내벽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최소의 건설 재료로 최대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explanation)했다.
순서
당신은 훌륭한 과학기술자고 정치인이다. 수심 약 100m에 해저도시를 짓는다면 수압은 약 11기압(수심 10m당 1기압)이다. 이런 상황이라면 당신은 어떤 조치를 취해 시민(市民)들을 구해낼 것인가. 우선 우주나 제2의 지구를 떠올릴 수 있다아 그러나 생명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물과 산소가 존재하는 제2의 지구는 아직 발견하지 못했다. 어마어마한 압력을 버틸 수 있는 최적의 형태는 돔 구조다.
수중터널의 연장(延長)을 시공하기 쉬운 길이로 분할한 함체(函體)를 육지의 건선거(乾船渠)에서 철판 또는 철근콘크리트로 제작하여 각 함체의 양단의 개구부(開口部)를 임시로 밀폐해서 물 위에 띄우고 설치장소까지 견인선으로 운반하여 여기에 물을 채워 가라앉힌다. 지진 위협과 조산활동이 없는 평탄한 곳이어야 한다.
Download : 수중터널 트렌치공법.hwp( 81 )
수중터널 트렌치공법,수중터널의 연장,수중터널
○ 내부 1기압 유지가 관건





적당한 곳을 찾았다면 그 다음은 압력과의 싸움이다. 수면을 뚫고 들어온 햇살이 아른아른 비치는 창밖으로 대왕오징어가 지나다니는 해저도시, 바닷속에서 비행기 속도인 시속 1000km로 달리는 자기부상열차로 이동할 수 있는 해저터널 건설은 상상 속에서만 존재하는 게 아니다. 수심 200m 이하의 대륙붕이 적당하다.
수중터널 트렌치공법
전문가들은 현재 과학과 工學(공학) 을 총동원하면 해저도시 건설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서해(황해)처럼 탁한 바다는 안 된다된다. 우주로 가기보다는 바다로 눈을 돌려보자. 해저도시를 건설한다면 인류 멸망의 위기는 피할 수 있지 않을까.
수중터널의 연장(延長)을 시공하기 쉬운 길이로 분할한 함체(函體)를 육지의 건선거(乾船渠)에서 철판 또는 철근콘크리트로 제작하여 각 함체의 양단의 개구부(開口部)를 임시로 밀폐해서 물 위에 띄우고 설치장소까지 견인선으로 운반하여 여기에 물을 채워 가라앉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