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건축 및 명칭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15 14:50
본문
Download : 조선의 건축 및 명칭.hwp
조선의 건축 및 명칭
조선의건축및명칭 , 조선의 건축 및 명칭공학기술레포트 ,
순서
설명
조선의건축및명칭
,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공학기술
1)사찰건축
①通度寺(통도사): 우리나라 3보사찰의 하나로 부처의 眞身舍利(진신사리)를 봉안한 佛寶(불보)사찰로서 646년(신라 선덕여왕 15년)에 자장율사에 의해 창건되었다. 배치는 수次例의 중건을 거듭하여 현재의 대규모 가람을 이루었기 때문에 독특한 형식을 이루고 있다아 서에서 동으로 흐르는 긴 시냇물을 따라 동서로 길게 天王門(천왕문), 不二門(불이문), 대웅전의 3개 건물이 한 영역이 되며 각 영역내의 건물들은 진입축과는 직교하도록 배치되었다. 즉 사찰의 가장 중심이 되는 대웅전 영역은 북쪽의 금강계단과 인접되어 있어 동서로 이어지는 진입축과는 직교하도록 배치되었다. 이렇게 진입과 예불의 축이 직교하는 것을 건축적으로…(drop)
Download : 조선의 건축 및 명칭.hwp( 44 )
다. 그후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수次例의 중건을 거듭하는 동안 사찰의 영역이 동쪽으로 확대되면서 각각의 영역에 동서축과 남북축이 직교되는 공간구성을 이루게 되었는데 그 대부분의 건물들은 조선시대에 건립된 것들이다. 그는 왕명을 받고 당나라에 들어가 석가모니의 袈裟(가사)와 사리 등을 얻어 귀국한 후 大國統(대국통)이 되었으며 통도사를 개창하면서 戒壇(계단)을 만들어 이 곳에 사리를 모시고 사리탑을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