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4.3항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12 12:24
본문
Download : 제주도 43항쟁.hwp
이러한 검거열풍을 피하기 위하여 수십명의 좌익 지도자들이 한라산으로 입산할 것을 비롯하여, 점차 많은 수의 도민이 한라산으로 입산하기 처음 한다.
,기타,레포트






경찰은 3.1절 시위사건 이후의 검거과정에서 약2,500명의 청년들을 구금하고 이중 3명을 고문 치사케 하였으며 후에 이 시체를 강에 던져 버리려고 시도함으로써 도민들을 격앙케 하였다.
3월 13일 곤봉과 돌로 무장한 1,000여명의 군중이 중문형무소로 몰려가 투옥자의 석방을 요구하면서 시위를 감행하였고 미군정은 모두 검거, 투옥하는 공격을 단행하였다.
제주도 4.3항쟁에 대해 조사한 자료(資料)입니다. 4[1].3항쟁에대하여 , 제주도 4.3항쟁기타레포트 ,
다.
레포트/기타
제주도 4.3항쟁
순서
설명
Download : 제주도 43항쟁.hwp( 73 )
4[1].3항쟁에대하여
제주도 4.3항쟁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이에 대하여 제주도의 민전은 “싸우면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자”는 구호아래 각 직장에 ‘3.1공동투쟁위원회’ 및 시 민 사이에 ‘3.1사건대책위원회’를 조직하여 직장에서의 파업과 학교에서의 동맹휴학을 주도하였고, 3월 10일에는 ‘제주도총파업투쟁위원회’를 구성하여 총파업에 들어갈 것을 지시하였다. 이 결과 제주도에서는 미군정청 직원과 전도의 관공서 직원 및 대정, 중문, 조천 등의 경찰관을 포함하여 연인원 40,852명이 참가한 “한국에서 처음보는 관공리의 총파업”이 개시되어 3월 18일까지 계속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