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UME구조론과지진파토모그라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23 07:38
본문
Download : PLUME구조론과지진파토모그라피.hwp
지진파의 속도는 통과하는 매질의 물성에 기인한다. 이런 경우 맨틀은 내부 열을 효율적으로 나를 수 있는 난류 상태로 되어, 맨틀 물질 자체가 부력을 받아 상승류(hot plume)를 형성하여 이동하게 되며, 이것이 1990년대 들어오면서 판구조론을 수정하게 만든 신 학설, 플룸론(plume theory)의 기본 개념(槪念)이다.
Download : PLUME구조론과지진파토모그라피.hwp( 32 )
,자연과학,레포트


최근의 지구물리학 및 지질학 연구에 의하면, 핵과 맨틀사이에는 얇은 두께의 경계층(D`-layer, 약 지표로부터 2700-2900 km 깊이)이 존재한다는 설이 받아들여 지고 있다. 지진파가 지구 내부 맨틀의 어떤 부분을 통과할 때, 꼭 지체되는 구간과 빨라지는 구간이 따로 있으며, 이같이 불균질한 매질의 물성의 차이는 불균질한 온도가 주 Cause 일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최근의 지진학자들은 이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맨틀에 대한 3차원 지진파 토모그래피를 만들어 냈다. 특히 해양지각의 더미(cold plume)들이 맨틀 바닥으로 떨어지면, 맨틀내의 주변 온도차가 충분히 크게 되어 경계층이 두텁게 발달된다된다. 그 껍데기의 표면에서 우리는 집짓고 살고 있는 것이다. 특히 해양지각의 더미(cold plume)들이 맨틀 바닥으로 떨어지면, 맨틀내의 주변 온도차가 충분히 크게 되어 경계층이 두텁게 발달된다. 이런 경우 맨틀은 내부 열을 효율적으로 나를 수 있는 난류 상태로 되어, 맨틀 물질 자체가 부력을 받아 상승류(hot plume)를 형성하여 이동하게 되며, 이것이 1990년대 들어오면서 판구조론을 수정하게 만든 신 학설, 플룸론(plume theory)의 기본 개념이다. 또한 지각이 쉽게 맨틀위를 떠다닐 수 있는 것은, 지표에서 상부맨틀까지 압력에 비하여 지온의 증가율이 훨씬 커서, 상부맨틀의 특政府(100-250 km)에 부드러운 층이 존재하기 때문이다(지진파의 속도가 유난히 낮아 저속도층이라 불린다). 이 층을 따라 지각은 마치 콘베이어 벨트를 타고 여행하고 있는 셈이다.
순서
PLUME구조론과지진파토모그라피
1.어떻게 그 큰 지각이 떠다닐 수 있을까?
누구나 한번쯤은 이런 고민에 잠겼던 경험이 있었을 것이다. 지각의 mean(평균) 두께는 불과 40 km 정도로써, 6378 km의 mean(평균)반경을 갖는 지구 규모에서 보면, 스프가 식을 때 생기는 얇고 가벼운 껍데기에 불과하다. 지진파가 지구 내부 맨틀의 어떤 부분을 통과할 때, 꼭 지체되는 구간과 빨라지는 구간이 따로 있으며, 이같이 불균질한 매질의 물성의 차이는 불균질한 온도가 주 원인일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PLUME구조론과지진파토모그라피 , PLUME구조론과지진파토모그라피자연과학레포트 ,
설명
다. 경계층의 상하부에는, 압력과 온도에 따른 철의 용융곡선과 맨틀의 온도구배를 고려할 때, 1500 K 이상의 온도구배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된다. 지진파의 속도는 통과하는 매질의 물성에 기인한다. 최근의 지진학자들은 이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맨틀에 대한 3차원 지진파 토모그래피를 만들어 냈다.레포트/자연과학
PLUME구조론과지진파토모그라피
최근의 지구물리학 및 지질학 연구에 의하면, 핵과 맨틀사이에는 얇은 두께의 경계층(D`-layer, 약 지표로부터 2700-2900 km 깊이)이 존재한다는 설이 받아들여 지고 있다. 경계층의 상하부에는, 압력과 온도에 따른 철의 용융곡선과 맨틀의 온도구배를 고려할 때, 1500 K 이상의 온도구배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