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세기 한 일국교관계의 동요와 통신사 -역지통신 실시에 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2 13:49
본문
Download : 18~19세기 한 일국교관계의 동요와 통신사 -역지통신 실시에 대한 고찰-.hwp
그보다 전에 동래부사 홍문영은 막부장군 덕천가치의 사망 사실을 조정에 보고했는데, 이것을 바탕으로 1786년 10월 11일에 당시 호조판서 정일상은 통신사에 필요한 예단삼 준비에 착수해야 한다고 조정에 진언한 바 있다 이것을 보면 당연히 선례대로 통신사가 열릴 것으로 보고 미리 준비를 서두르고 있었던 것 같다.
이런 상황에서 1793년에 日本(일본)으로부터 ꡐ역지통신ꡑ의 요청이 들어왔으니 조선쪽에서 그것을 거부할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기타,레포트
설명
역지통신
Download : 18~19세기 한 일국교관계의 동요와 통신사 -역지통신 실시에 대한 고찰-.hwp( 41 )
레포트/기타
Ⅰ. 서 론
Ⅱ. 본 론
1. 역지통신 실시배경
1) 조선조definition 입장
2) 도쿠가와 막부의 입장
3) 대마번의 입장
2. 역지통신 실시과정
1) 통신사 파견의 연기
2) 대마역지통신의 교섭
3) 역지통신 시행
3. 역지통신의 의의
Ⅲ. 결 론
Ⅳ. 참고한 문헌
. 역지통신 실시배경
1) 조선조definition 입장
대마번을 통해서 막부의 역지통신 방침이 전해지자 조선조정은 선례에 어긋나는 일이라고 해서 日本(일본)측 요청을 한 마디로 거절해버렸다. 아마도 이것은 그동안 에도까지 성대하게 접대를 받으면서 치루어 젺던 통신사를 대마도에서 연다는 것은 격식에 크게 어긋난다는 불쾌감 때문이었겠지만, 그와 더불어 日本(일본)(특히 덕천막…(To be continued )
다.역지통신 , 18~19세기 한 일국교관계의 동요와 통신사 -역지통신 실시에 대한 고찰-기타레포트 ,
18~19세기 한 일국교관계의 동요와 통신사 -역지통신 실시에 대한 고찰-
역지통신의 실시배경과 실시과정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이 때 조선측에서는 통신사가 에도에서 열릴 것으로 알고 있었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선례에 없는 일이라 해서 조선은 역지통신의 뜻을 전하는 日本(일본)측 서계의 접수마저 단호하게 거부했다.






순서
역지통신의 실시배경과 실시과정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