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구문론-범주화의 적용과 必要性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28 02:27
본문
Download : 영어구문론(범주).hwp
□ 참 고 문 헌
-2133_01.jpg)
-2133_02_.jpg)
-2133_03_.jpg)
-2133_04_.jpg)
-2133_05_.jpg)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영어, 구문론, 범주화
Download : 영어구문론(범주).hwp( 33 )
설명
1. 범주화의 necessity need에 대한 문제 제기
Andrew Radford/이홍배(1999), 최소주의 통사론(Syntax: A minimalist introduction), 한신문화사
한 언어의 원어민은 누구나 자신의 모국어 문법을 알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아 즉, 원어민은 자신의 모국어에 있는 단어, 구, 문장들을 어떻게 구성하고 해석하는가를 명확히 알고 있다아 예를 들어, 영어를 모국어로 쓰는 사람은 누구나 I like syntax의 부정문이 I no like syntax가 아니라 I dont like syntax라는 것을 우리에게 말할 수 있다아 따라서 우리는 원어민이 자신의 언어에서 문장을 어떻게 부정하는가를 알 수 있다아 그러나 이러한 문법적인 지식은 명시적, 즉 의식적 지식이 아니라 암묵적이고 무의식적인 지식이라는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아 따라서 영어 원어민에게 ‘영어에서 부정문을 어떻게 구성합니까?’라고 질문하는 것은 소용이 없다. 전문적 용어를 도입하여 말한다면, 원어민은 자신의 모국어에 대한 문법능력(grammatical competence)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아 이 말은 그들이 모국어의 문법에 대한, 즉 모국어의 단어, 구, 문장을 어떻게 구성하는가에 대한 암묵적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영어 구문론-범주화의 적용과 必要性
Ronald W.Langacker/김종도․나익주(2001), 문법과 관념화(Grammar & Conceptualization), 박이정
순서
□ 참 고 문 헌 Andrew Radford/이홍배(1999), 최소주의 통사론(Syntax: A minimalist introduction), 한신문화사 Ronald W.Langacker/김종도․나익주(2001), 문법과 개념화(Grammar & Conceptualization), 박이정
다. 왜냐하면 인간은 말을 하고 이해하는 것과 연관이 있는 심리과정에 대상으로하여 의식적인 자각이 없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