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 개사구조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7-15 06:28
본문
Download : ‘향’ 개사구조에 관한 연구.hwp
2. 개사 ‘향’의 어법 의미일반적으로 ‘향’은 ‘동작의 방향이나 도달하려는 처소’를 나타내거나 ‘동작 행위의 대상’을 나타내는 의미 기능을... , ‘향’ 개사구조에 관한 연구기타레포트 ,
일반적으로 ‘향’은 ‘동작의 방향이나 도달하려는 처소’를 나타내거나 ‘동작 행위의 대상’을 나타내는 의미 기능을...






,기타,레포트
순서
레포트/기타
2. 개사 ‘향’의 어법 의미
2. 개사 ‘향’의 어법 의미
일반적으로 ‘향’은 ‘동작의 방향이나 도달하려는 처소’를 나타내거나 ‘동작 행위의 대상’을 나타내는 의미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기술되어 왔다. . 이임정(1988)과 범간량(1990)에 따르면, 첫째 의미 기능의 경우에는 ‘왕’, ‘조’와 동의 관계에 있으며, 둘째 의미 기능의 경우에는 ‘급’, ‘대’, ‘근’과 동의 관계에 있다
‘향’의 의미 기능은 처격(locative)과 관련 있다 처격(locative)과 관련된 기능 내에 인정될 수 있는 일반적인 구분은 처소(location)와 방향(direction)이다 홍윤표(1978) 111쪽 참조.
. 이러한 처소나 방향의 기능 내지 의미는 명사구와, 이 명사구와 통합관계를 맺는 동사구 즉 공기동사(cooccurrence verb)와의 논리적 관계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결정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 ‘향’ 하나만은 아닐것이다.
(1) 타재가리.
…(생략(省略))(2) 타종가리도학교거.
Download : ‘향’ 개사구조에 관한 연구.hwp( 57 )
‘향’ 개사구조에 관한 연구
설명
다. 특히 공기동사의 [+motion] 의미자질에 의하여 구분된다 공기동사가 [-motion]의 의미자질을 가지면 처소를 나타내며, [+motion] 의미자질을 가지면 방향을 나타낸다. 방향의 의미는 동사구가 단지 이동성의 동작동사일 것을 요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