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C] 정서에 관여하는 뇌에 관련되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06 10:58
본문
Download : 정서에 관여하는 뇌에 대해서.docx
① 본능적 공포
동물의 편도체를 파괴하면 본능적인 공격성, 두려움등이 사라지기 때문에 쥐의 편도체를 파괴할 경우 고양이를 두려워하지 않음. 사람의 편도체가 손상될 경우 지능은 정상이지만 두려움을 느끼지 못하거나 공격적이게 된다고 한다.


정서에 관여하는 뇌에 관련되어
레포트/기타
설명
순서
정서에 관여하는 뇌에 관련되어
정서에 관여하는 뇌에 대해서 , 정서에 관여하는 뇌에 대해서기타레포트 , 정서 관여하 뇌 대해서
정서,관여하,뇌,대해서,기타,레포트
정서에 관여하는 뇌
인간의 정서정서에 관여하는 뇌영역에는 뇌의 내측면에서는 시상하부, 해마, 편도체, 복내측 전전두 피질, 전측대상회, 팽대후부피질이 있으며, 외측면에서는 두정엽, 도, 전두엽의 배외측 영역과 안와 전두 영역이 있다
◆내측면
ⅰ.편도체: 대뇌변연계에 존재하는 아몬드 모양의 뇌부위로 감정을 조절하고, 공포에 대한 학습 및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② 섭식조절: 시상하부의 복내측 핵을 파괴하면 많이 먹게 되어 비만해지고, 외측부를 파괴하면 먹지 않게 됨.
③ 섭수조절: 시상하부의 외측부를 파괴하면 물을 마시지 않게 됨.
④ 정동행동: 시상하부의 후부를 자극하면 동물은 으르렁대거나 동공이 확장되고 털이 서는 등 노여움의 징후를 나타냄. 대뇌피질을 제거한 동물은 이런 분노의 행동이 나타나기 쉽고, 정상상태에서는 대뇌피질이 시상하부의 활동을 억제하고 있으므로 그것이 없어지면 분노를 일으킴.
⑤ 뇌하수체 기능조절: 뇌하수체가 시상하부 바로 옆에 있는 것만 보더라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는데, 내분비세포의 작용을 조절함.
① 단기기억(작업기억)
② 장기기억(사실기억)
③ 기능기억(절차기억)
Download : 정서에 관여하는 뇌에 대해서.docx( 24 )
다. 흰쥐나 토끼와 같은 test(실험) 동물에게 특정한 소리를 전기적 충격과 함께 반복해서 들려 준 다음, 일정 기간이 지난 뒤에 그 특정 소리만 들려 주어도 강한 공포 reaction response을 보임. 그런데 이 동물의 편도를 제거하면 더 이상 특정 소리에 대해 공포 reaction response을 보이지 않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