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제두(1649~1736) 철학사상을 통해서본 조선양명학의 위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15 10:07
본문
Download : 정제두(1649~1736) 철학사상을 통해서본 조선양명학의 위상.hwp
그것이 바로 예이다.정제두(1649~1736) 철학사상을 통해서본 조선양명학의 위상*
순서
정제두(1649~1736) 철학사상을 통해서본 조선양명학의 위상에 대한 글입니다. 자신의 본질적 능력을 대상화 하는 형식은 또한 인간의 자기제어 능력의 일부가 대상화 된 것이다. 그것은 인간의 본질적 능력이 직접적으로 연장된 것이다.
인간의 자연을 통어하는 것은 자연의 억압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자생적 욕망의 흐름을 소통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양지는 욕망의 흐름을 소통시키고 그것의 양적인 비례관계를 자기조절하는 기제를 구비하고 있다아 양지 자체가 자신의 의지를 자연적으로 소통시키려는 경향을 안고 있다아 그런데 양지의 욕망은 맹목적인 의지가 아니라…(省略)
다. 예는 인간의 자기제어 능력이 제도의 형식으로 대상화 된 것이다.정제두철학사상을통해 , 정제두(1649~1736) 철학사상을 통해서본 조선양명학의 위상*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정제두철학사상을통해
Download : 정제두(1649~1736) 철학사상을 통해서본 조선양명학의 위상.hwp( 86 )
%20%EC%B2%A0%ED%95%99%EC%82%AC%EC%83%81%EC%9D%84%20%ED%86%B5%ED%95%B4%EC%84%9C%EB%B3%B8%20%EC%A1%B0%EC%84%A0%EC%96%91%EB%AA%85%ED%95%99%EC%9D%98%20%EC%9C%84%EC%83%81_hwp_01.gif)
%20%EC%B2%A0%ED%95%99%EC%82%AC%EC%83%81%EC%9D%84%20%ED%86%B5%ED%95%B4%EC%84%9C%EB%B3%B8%20%EC%A1%B0%EC%84%A0%EC%96%91%EB%AA%85%ED%95%99%EC%9D%98%20%EC%9C%84%EC%83%81_hwp_02.gif)
%20%EC%B2%A0%ED%95%99%EC%82%AC%EC%83%81%EC%9D%84%20%ED%86%B5%ED%95%B4%EC%84%9C%EB%B3%B8%20%EC%A1%B0%EC%84%A0%EC%96%91%EB%AA%85%ED%95%99%EC%9D%98%20%EC%9C%84%EC%83%81_hwp_03.gif)
%20%EC%B2%A0%ED%95%99%EC%82%AC%EC%83%81%EC%9D%84%20%ED%86%B5%ED%95%B4%EC%84%9C%EB%B3%B8%20%EC%A1%B0%EC%84%A0%EC%96%91%EB%AA%85%ED%95%99%EC%9D%98%20%EC%9C%84%EC%83%81_hwp_04.gif)
%20%EC%B2%A0%ED%95%99%EC%82%AC%EC%83%81%EC%9D%84%20%ED%86%B5%ED%95%B4%EC%84%9C%EB%B3%B8%20%EC%A1%B0%EC%84%A0%EC%96%91%EB%AA%85%ED%95%99%EC%9D%98%20%EC%9C%84%EC%83%81_hwp_05.gif)
%20%EC%B2%A0%ED%95%99%EC%82%AC%EC%83%81%EC%9D%84%20%ED%86%B5%ED%95%B4%EC%84%9C%EB%B3%B8%20%EC%A1%B0%EC%84%A0%EC%96%91%EB%AA%85%ED%95%99%EC%9D%98%20%EC%9C%84%EC%83%81_hwp_06.gif)
설명
정제두(1649~1736) 철학사상을 통해서본 조선양명학의 위상에 대한 글입니다. 모든 존재자는 자신의 힘을 관철하려는 경향으로 가득차 있다아 그러한 경향을 차단시키거나 맹목적 으로 관철하도록 방치하게 되면 전체는 물론 개별자 자신의 재생산마저 중단될 수가 있다아 그렇게 되면 전체의 자기재생산 의지가 개별자를 통해서 관철되지 않는다.
,인문사회,레포트
정제두에 있어서 리는 인간의 본질적 능력임과 동시에 그것을 대상화 하는 주객관적 형식이다. 따라서 정제두에 있어서 리와 예는 인간의 자연을 제어하고 조절하는 형식이라는 점에서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