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너와 반두라) Skinner의 전통적 행동주의와 Bandura의 인지적 행동주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14 03:26
본문
Download : (스키너와 반두라) Skinner의 전통적 행동주의와 Bandura의 인지적 행동주의.hwp
인간 행동은 선행하는 사건 즉 선행요인과 뒤이어 일어나는 사건 즉 결과에 의해 일어난다고 보고 있으며 선행요인의 요인이 되는 자극을 조정함으로 결과인 반응 즉 행동을 통제할 수 있다고 본다. 조건반사는 학습이 되었다는 것이다.
제 1절 인간관
1. 공통점
(1) 인간의 행동을 불러일으키는 요인은 環境(환경)적 자극이다.
ex) 타액분비, 눈물, 재채기, 수업시간에 교수가 질문을 하면 초조해 하는 행동 등
3) 조건화가 성립하기 위한 원리
?시간의 원리 - 조건자극이 무조건 자극과 시간적으로 동시에 혹은 그에 조금 앞서서 주어져야 effect적이다. 행동주의 theory 은 인지, 감각, 본능 등과 같은 개념(槪念)은 내성적이고 관념적인 것들로 과학적 연구대상이 될 수 없기 때문에 자극과 반응에 의해 학습 또는 수정되는 observation 가능한 인간행동이 연구의 초점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강도의 원리 - 조건 반사적인 행동이 이루어지려면 먼저 준 자극의 강도에 비해 후속 하는 자극이 적어도 같거나 보다 강해야만 바람직한 반응을 일으키는데 effect적이다.
2) 반응적 행동
고전적 조건화는 어떤 자극에 유기체가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어떤 반응을 일으키 게 만드는 속성 때문에 반응적 조건화라고도 불리며, 이렇게 조건화에 의해 형성된 행동을 반응적 행동이라 한다.
행 동
2) 인간은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수 없다.
(3) observation 가능한 행동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과학적 연구를 통하여 인간본성을 說明(설명) 할 수 있다아
2. 차이점
環境(환경)적 용인에 의해 인간본성이 결정된다고 보는 기계론적 環境(환경)론의 입장
인간이 어느 정도 합리적 존재인가에 대한 관점의 차이
인간의 내면세계는 연구할 필요가 없어 인간본성의 합리성에 대해 논의 자체를 거부
인간은 자신의 인지적 능력을 고려하여 합리적 행동을 계획할 수 있다고 봄
객관적 자극에 반응할 때 인간내면의 주관적인 요소가 관여한다고 봄
제 2절 기본가정
1. Skinner의 행동주의의 기본가정
1) ABC 패러다임 : 인간의 행동은 環境(환경)적 자극에 의해 동기화 되며, 행동에 따르는 강화 에 의해 전적으로 결정된다고 보았다.설명
Skinner(스키너)의 전통적 행동주의와 Bandura(반두라)의 인지적 행동주의 비교
- 목 차 -
제 1절 인간관
제 2절 기본가정
제 3절 주요개념(槪念)
1. 고전적 조건화와 반응적 행동
2. 조작적 조건화와 조작적 행동
3. 반두라의 학습theory
4. 변별자극
5. 강화와 벌
6. 행동조성
7. 일반화
8. observation학습
9. 대리적 조건화 학습
10. 자아강화와 자아 효능감
제 4절 행동발달에 관한 관점
제 5절 사회체계에 대한 이해
1. 가족과 집단
2. 지역싸회와 조직
3. 사회文化(문화)체계
제 6절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1. adaptation(적응) 행동과 증상에 대한 관점
2. 치료 목표(目標)
3. 치료자의 역할과 실무원칙
4. 치료적 기법
5. 행동주의 학습의 교육적 시사점
6. 행동주의 학습theory 의 교육적 적용
7. 행동주의 theory 의 長點과 단점
<…(To be continued )행동주의 theory 은 인간행동의 대부분은 학습되거나 학습에 의해 수정된다는 기본전제에 근거를 두고 있기 때문에 학습theory 이라고도 불린다.
?P : 개인의 인지적 요인 및 내적 사건
?B : 행동
?E : 외적環境(환경)
B E
2) 인간은 자기효율성을 성취하는 방향으로 행동으로 규제할 수 있다아
3) 새로운 행동의 학습은 외적 강화 없이도 이루어질 수 있고 본보기 행동이나 대리적 강화를 통해서도 새로운 행동의 학습과 창출이 가능하다. 즉 반응적 행동은 인간 유기체가 특정 자극에 대해 자동적으로 반응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20Skinner%EC%9D%98%20%EC%A0%84%ED%86%B5%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EC%99%80%20Bandura%EC%9D%98%20%EC%9D%B8%EC%A7%80%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_hwp_01.gif)
%20Skinner%EC%9D%98%20%EC%A0%84%ED%86%B5%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EC%99%80%20Bandura%EC%9D%98%20%EC%9D%B8%EC%A7%80%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_hwp_02.gif)
%20Skinner%EC%9D%98%20%EC%A0%84%ED%86%B5%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EC%99%80%20Bandura%EC%9D%98%20%EC%9D%B8%EC%A7%80%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_hwp_03.gif)
%20Skinner%EC%9D%98%20%EC%A0%84%ED%86%B5%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EC%99%80%20Bandura%EC%9D%98%20%EC%9D%B8%EC%A7%80%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_hwp_04.gif)
%20Skinner%EC%9D%98%20%EC%A0%84%ED%86%B5%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EC%99%80%20Bandura%EC%9D%98%20%EC%9D%B8%EC%A7%80%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_hwp_05.gif)
%20Skinner%EC%9D%98%20%EC%A0%84%ED%86%B5%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EC%99%80%20Bandura%EC%9D%98%20%EC%9D%B8%EC%A7%80%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_hwp_06.gif)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행동주의 theory 은 고전적 조건화, 조직적 조건화 그리고 인지적 학습이라는 세 가지 접근방법으로 분류된다된다. 동물은 다음에 종소리만 들어도 침(조건반응)을 흘리게 되는 경우이다. 즉 행동을 유발하는 힘이 없는 중성자극에 반응유발능력을 불어넣어 조건자극으로 變化(변화)시키는 과정이 고전적 조건화이다. 이와 같이 고전적 조건화는 중성자극을 일차적 유발자극과 교차시켜 유기체에 투입함으로써 중성자극에도 특정반응을 유발시키는 힘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2. Bandura의 사회학습theory 의 기본가정
1) 인간행동은 環境(환경)적 자극에 의해 동기화 되며 개인의 인지적 요인과 다른 내적 사건들에 의해 중재되어야 최종행동이 결정된다된다.
제 3절 주요개념(槪念)
1. 고전적 조건화와 반응적 행동
1) Pavlov의 개test(실험) 과 고전적 조건화
고전적 조건에는 무조건 반사와 조건반사가 있으며, 무조건 반사는 동물이 먹이(무조건적 자극)를 보면 침(무조건적인 반응)을 흘리게 되는 경우이며, 조건 반사는 동물에게 먹이를 줄 때 종소리(조건자극)를 같이 들려준다.
3) 외적 강화가 없이는 어떠한 행동의 학습이나 수정도 이루어 질 수 없으며 인간은 어떻게 행동하도록 강화되었느냐에 따라 행동한다.
(2) 강화를 變化(변화)시켜 인간행동의 變化(변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인간본성은 가변적이다.
레포트/기타
(스키너와 반두라) Skinner의 전통적 행동주의와 Bandura의 인지적 행동주의
스키너와,반두라,Skinner,전통적,행동주의와,Bandura,인지적,행동주의,기타,레포트
(스키너와 반두라) Skinner의 전통적 행동주의와 Bandura의 인지적 행동주의 , (스키너와 반두라) Skinner의 전통적 행동주의와 Bandura의 인지적 행동주의기타레포트 , 스키너와 반두라 Skinner 전통적 행동주의와 Bandura 인지적 행동주의
순서
Download : (스키너와 반두라) Skinner의 전통적 행동주의와 Bandura의 인지적 행동주의.hwp( 23 )
(스키너와 반두라) Skinner의 전통적 행동주의와 Bandura의 인지적 행동주의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