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전임자 제도와 관련 한 판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2-07 10:29
본문
Download : 노조 전임자 제도와 관련한 판례.hwp
노조 전임자 제도와 관련 한 판례
순서
노조,전임자,제도와,,관련,한,판례,법학행정,레포트
설명
노조 전임자 제도 관련 주요 판례 (노조법)
1. 노조 전임자의 개요
임원의 선거 절차와 탄핵에 관한 사항은 규약의 필요적 기재사항이다. 임원은 당해 노동조합의 조합원 중에서 선출할 수 있고(노노법 제23조 제1항), 그에 관한 선거는 직접?비밀?무기명투표에 의하며 결선투표제도가 있다(노노법 제16조 제4항). 임원의 임기는 3년 이하의 범위 내에서 규약에서 정할 수 있다(노노법 제23조 제2항). 각 조합원들에게는 평등한 선거권이 보장되어야 한다(노노법 제22조).
임원 가운데 단체협약 등에 의하여 노조 전임자로 인정되는 자의 지위는 휴직 중의 근로자와 유사하다.
노동조합 전임자는 사용자와의 관계에서 근로제공의무가 면제되고 사용자의 임금지급의무도 면제될 뿐 사용자와의 사이에 기본적 노사관계는 유지되고 근로자로서의 신분도 그대로 가지는 것이다(대법원 2003. 9. 2. 선고 2003다4815, 4822, 4839 판결 등 참조).
원심은, 노…(To be continued )
레포트/법학행정
노조 전임자 제도와 관련 한 판례
Download : 노조 전임자 제도와 관련한 판례.hwp( 86 )





노조 전임자 제도와 관련 한 판례 , 노조 전임자 제도와 관련 한 판례법학행정레포트 , 노조 전임자 제도와 관련 한 판례
다.
2. 노동조합 전임자의 법적 지위 관련 판례
- 노동조합 전임자는 사용자와의 사이에 기본적 노사관계는 유지되고 근로자로서의 신분도 그대로 가지는 것이므로, 노동조합의 피용자로 볼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