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구 장단의 종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01 20:06
본문
Download : 장구 장단의 종류.hwp
(3) 한 장단 6박형
한 장단이 6박으로 이루어진 장단은 `영산회상` 중 삼현도드리, 하현도드리, 염불도드리, 밑도드리, 웃도드리`등에 사용된다된다.
(나) 취타 장단
`취타`, `대취타`에 사용된다된다.
(5) 한 장단 4박…(省略)
국악 장구의 장단(長短)의 종류를 說明(설명)
장구 장단의 종류
레포트/예체능
순서






설명
다.
(2) 한 장단 10박형
한 장단이 10박으로 이루어진 곡은 `영산회상`의 `세령산, 가락덜이`, `여민락`의 제4장∼제7장, `현악 보허자`의 제5장∼제7장에서 쓰인다.,예체능,레포트
국악 장구의 장단(長短)의 종류를 설명 , 장구 장단의 종류예체능레포트 ,
Download : 장구 장단의 종류.hwp( 56 )
1. 장단의 개념(槪念)
장단(長短)이란 국악에서 박자, 빠르기, 리듬의 주기들을 지정해 주고, 때로는 악장을 의미하는 일종의 리듬형을 말한다.
(4) 한 장단 12박형
(가) 타령장단
`영산회상`중에 타령, 군악과 `계면가락도드리`들과 행악중 `길타령`, `별우조타령`들에 사용된다된다.
2. 장구 기보법
서양음악에서는 3/4이니 6/8이니 하는 박자 기호를 써서 박자를 표시하지만 국악에서의 장단은 주로 장구나 북과 같은 타악기의 고법으로 장단을 기보한다.
<장구 표기법>
3. 정악 장단
가. 기악곡의 장단
(1) 한 장단 20박형
정악에 쓰이는 장단 중 한 장단 20박으로 이루어진 곡은 `영산회상`의 상령산, 중령산, `여민락`의 초장∼3장, `현악 보허자`의 초장∼4장, `관악 보허자`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