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academy.co.kr 덕수궁의 조경에 대한 analysis(분석) 레포트(report) > sbsacademy5 | sbsacademy.co.kr report

덕수궁의 조경에 대한 analysis(분석) 레포트(report) > sbsacademy5

본문 바로가기

sbsacademy5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덕수궁의 조경에 대한 analysis(분석) 레포트(repor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10 16:21

본문




Download : 덕수궁의 조경에 대한 분석 레포트.hwp




준명당 위치

10. 즉조당

연혁: 준명당과 복도로 연결되어 있는 이 건물은 15대 광해군과 16대 인조가 즉위한 곳이다. 좌우 툇간에 쪽마루를 두고 있다 1916년 4월에는 덕혜옹주 교육을 위해 이곳에 유치원을 개설하기도 하였다. 1)단청을 하지 않은 백골집으로 아래층은 정면 8칸, 측면 4칸이며 상층은 정면 6칸, 측면 1칸으로 2)겹처마에 3)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1)단청

2)겹쳐마

->처마 끝의 서까래 위에 짧은 서까래를 잇대어 달아낸 처마이다.



덕수궁의%20조경에%20대한%20분석%20레포트_hwp_01.gif 덕수궁의%20조경에%20대한%20분석%20레포트_hwp_02.gif 덕수궁의%20조경에%20대한%20분석%20레포트_hwp_03.gif 덕수궁의%20조경에%20대한%20분석%20레포트_hwp_04.gif 덕수궁의%20조경에%20대한%20분석%20레포트_hwp_05.gif 덕수궁의%20조경에%20대한%20분석%20레포트_hwp_06.gif




Download : 덕수궁의 조경에 대한 분석 레포트.hwp( 16 )


덕수궁의 조경에 대한 analysis(분석) 레포트(report)

순서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 이 건물 주위에는 행각들이 있었으나 지금은 남행각만이 함녕전 남행각에 연접되어있다

덕홍전 위치

9. 준명당

규모: 231.43㎡

연혁: 이 건물의 창건 연대는 미상이나 고종때에 중건된 것으로 추측되는 목조건물로 즉조당과는 복도로 연결되어 있다 고종이 신하나 외국 사신을 접견하던 곳으로, 함녕전이 지어지기 전까지 고종의 침전으로 쓰였다. 현재는 국립현대미술관에서 덕수궁 미술관으로 사용중이다. 덕수궁의 유일한 목조중층 건물로 선조께서 임진왜란 중 의주로 몽진하셨다가 환도한 후 이곳에서 거처하셨고 1608년 2월 선조가 승하한 곳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석조전 위치

5. 석조전서관

규모: 3,428.47㎡

연혁: 1936년 8월 21일 기공하여 1938년 6월 5일 준공하였으며 이왕가 미술관으로 사용되었다. 인목 왕후가 광해군에 의해 유폐되었던 곳이기도 하며, 인조반정이 성공한 뒤 광해군을 석어당 뜰아래 꿇어앉히고 인목왕후가 죄를 책한 곳 이기도하다. 1897년 고종의 경운궁


덕수궁의 조경에 대한 analysis(분석) 레포트(report)
레포트/기타



덕수궁의 조경에 대한 분석 레포트 , 덕수궁의 조경에 대한 분석 레포트기타레포트 , 덕수궁 조경 레포트

덕수궁,조경,레포트,기타,레포트
다.
설명
덕수궁의 조경에 대한 分析(분석) 보고서

1. 중화전 - 보물제819호

2. 중화문 - 보물제819호

3. 함녕전 - 보물제820호

4. 석조전

5. 석조전서관

6. 정관헌

7. 석어당

8. 덕홍전

9. 준명당

10. 즉조당

11. 대한문

12. 광명문

13. 보루각자격루

14. 흥천사종

15. 중명전

국보, 보물, 사적, 유물의 차이점

1.국보

2.보물

3.유물

4.사적

거목지정실태

1. 회화나무

2. 가시칠엽수

3. 주목

4. 등나무

느낀점

덕수궁의 조경에 대한 分析(분석) 보고서

1. 중화전 - 보물제819호

규모: 409.3m2

연혁: 고종황제께서 1897년에 러시아공사관에서 덕수궁으로 이어하시면서 즉조당을 정전으로 사용하셨으나 협소하였으므로 1902년 새로운 정전으로 중화전을 지으셨다. 앞뜰에 조회 등의 의식이 있을 때 문무백관의 위치를 표시하는 품계석이 좌우에 있으며, 정문으로 중화문이 있다

중…(투비컨티뉴드 )

중화전 위치

2. 중화문 - 보물제819호

규모: 83.31m2

연혁: 1902년 건립된 중화전의 정문으로 1904년 화재로 소실된 후 중건되었으며 좌우에 행각이 있었으나 없어지고 동측에 일부만 남아있다

중화문 위치

3. 함녕전 - 보물제820호

규모: 343.77㎡

연혁: 1897년 건립되었으며 고종황제의 침전으로 사용되었다. 고종황제는 이곳에서 고관대신과 외국 사절들을 접견하거나 침전으로 사용하였다. 정면 6칸, 측면 5칸의 겹처마 팔작지붕집이며 높은 기단위에 세워졌다. 1904년 4월 14일 함녕전 온돌수리공사중 일어난 화재로 함녕전은 물론 덕수궁 내 주요 전각들이 모두 소실되는 큰 화재가 있었는데 이 건물은 같은 해 12월에 중건하였다. 측면에는 좌우 툇간이 있어서 전체의 평면은 정사각형에 가깝다.

1)차양칸

정관헌 위치

7. 석어당

규모: 229.19㎡

연혁: 창건 연대는 확실치 않고 1904년 화재로 소실된 것을 같은 해에 중건하였다. 용도는 주로 외국사신이나, 대신들을 만나던 접견실로 쓰였다.

외진에 두른 철제 난간에는 사슴, 소나무, 당초, 박쥐 등 전통문양을 넣었다. 본래는 중층건물이었으나 1904년 4월 14일 화재로 소실된 후 현재의 단층 건물로 중건되었다.

설계는 사바찐이 하였으며, 규모는 정면 7칸, 측면 5칸으로 내·외진으로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내진 공간 위에는 팔작지붕이 덮여있고 외진공간은 1)차양칸처럼 된 특이한 형태이다..

함녕전 위치

4. 석조전

규모: 3,986.65㎡

연혁: 조선시대 궁중건물 중에서는 최초로 유럽풍의 석조로 건립된 건물이며 영국인 하딩이 설계하였으며 영국인 데빗손 감독 하에 1900년 기공되어 1910년에 준공되었으며, 특별한 건물명칭은 없이 석조전으로만 전해 온다.

석어당 위치

8. 덕홍전

규모: 127.54㎡

연혁: 함녕전을 침전으로 사용할때 일반 빈객들을 접견하기 위하여 1906년 건립한 후 1911년에 개조하였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4칸이며 겹처마 팔작지붕의 단층 건물이다. 1919년 1월 21일 고종황제가 이곳에서 승하하셨다.

6. 정관헌

규모: 269.55㎡

연혁: 1900년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동서양 절충식 건물은 고종황제께서 다과회를 개최하고 음악을 감상하시던 곳이며 한때 이곳에 태조의 어진을 봉안하였다.

Total 15,726건 133 페이지

검색

REPORT 11(sv76)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sbsacademy.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sbsacademy.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