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한 우리말 정리(整理) (특히 소설 속에 등장하는 우리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13 15:36
본문
Download : 순수한 우리말 정리(특히 소설 속에 등장하는 우리말).hwp
이 글에서는 우리 소설에 등장하는 순수한 우리말을 각종 국어사전을 찾아 잘 정리(整理) 하여 두었습니다.,인문사회,레포트
순수한우리말(소설속에등장하는)
요즈음 학생들이 순수한 우리말에 대한 어휘력이 부족하여 문학작품을 읽을 때도 이해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순수한우리말(소설속에등장하는) , 순수한 우리말 정리(특히 소설 속에 등장하는 우리말)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Download : 순수한 우리말 정리(특히 소설 속에 등장하는 우리말).hwp( 35 )
○ 가납사니 : 되지도 않는 소리를 지껄이기 좋아하는 사람.
○ 가살장이 : 교활하고 밉살스러운 태도를 부리는 사람
○ 가시버시 : 부부(夫婦)를 속되게 낮추어 이르는 말
○ 가시아비 : 장인(丈人)
○ 가시어미 : 장모(丈母)
○ 가지기 : 예식을 올리지 않고 다른 남자와 사는 과부, 가직(家直)
○ 가짓말장이 : `거짓말장이`를 얕잡는 말
○ 가쾌(家僧) : = 집주름/집주릅. 집의 흥정을 붙이는 사람을 업으로 하는 사람)
○ 각다귀 : 모기과의 해충, 남의 것을 빨아 먹는 악한의 비유.
○ 간녕배(奸 # 輩) : 간사스럽고 아첨이 많은 무리.
순수한 우리말 정리(整理) (특히 소설 속에 등장하는 우리말)
다.
요즈음 학생들이 순수한 우리말에 대한 어휘력이 부족하여 문학작품을 읽을 때도 이해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우리 소설에 등장하는 순수한 우리말을 각종 국어사전을 찾아 잘 정리하여 두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