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목록 서비스 중기 발전 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5-07-02 16:00
본문
Download : 종합목록 서비스 중기 발전 방향.hwp
Download : 종합목록 서비스 중기 발전 방향.hwp( 16 )
3. 종합목록시스템의 운영
* 단기 : 센터의 종합목록시스템 운영은 초기 단계에서는 센터 기능의 조기정착 및 시스템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공유형시스템 시스템으로 출발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4. 타기관의 종합목록시스템과의 연계
* 센터에서 보유하지 않은 reference(자료)의 공유를 위해 타 정보유통시스템들과의 협조체제가 필요하며, 이들과의 연계를 위한 시스템의 구축계획이 중기 이후의 계획에는 포함되어야 한다.
* 가칭 ILS의 개발은 기존의 이해관계에서 자유로우며, 연구인력의 보강이 비교적 유연한 기관에서 주도하는 …(생략(省略))
1. 해외 example(사례)
나. 日本(일본) : NACSIS (공유형)
3. 종합목록시스템의 운영* 단기 : 센터의 종합목록시스템 운영은 초기 단계에서는 센터 기능의 조기정착 및 시스템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 , 종합목록 서비스 중기 발전 방향경영경제레포트 ,
설명
순서
* 단기 : 센터의 종합목록시스템 운영은 초기 단계에서는 센터 기능의 조기정착 및 시스템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
,경영경제,레포트






3. 종합목록시스템의 운영
레포트/경영경제
종합목록 서비스 중기 발전 방향
다.
* 이를 위한 도서관시스템간 개방형 상호연결시스템 (Interlinking System : 가칭 ILS)의 개발이 필요하다.
* 중기 : 관리할 DB의 용량이 증가하여 통제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계에서는 공유형 + 부분적 병렬형 체계로 전환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 대규모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KORDIC, KINITI 등은 타부처 소속기관들이므로 상호간의 특수성을 인정하고 주도권 문제를 원활하게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들과의 완전 병렬형 체제의 구축이 가장 합리적 plan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