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형정류리의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5-07-06 14:11
본문
Download : 인형정류리의이해.hwp
(1)<난파토산>의 의의
앞에서도 언급했었던 <난파토산>은 1738년에 수적이관에 의해서 간행된 정류리 평석서이다. 따라서, 단순…(To be continued )






인형정류리의이해
순서
인형정류리의이해
인형정류리의이해에 대한 글입니다.인형정류리의이해 , 인형정류리의이해서평서평감상 ,
Download : 인형정류리의이해.hwp( 65 )
,서평,서평감상
서평감상/서평
설명
인형정류리의이해에 대한 글입니다.
다. 그러나 한편으론, <난파토산>의 가치는 정류리의 평석서 라는 것 이상으로, 권일의 발단에 씌여진 근송의 정류리론에 있다고 볼 수 있다아 근송의 정류리론은 그다지 많지 않지만, 그 질은 매우 높고 또한 보편성을 지닌 것이라고 본다. 5권 5책으로 되어있는 이 책은 부제로 <정류리/문구평주>라고 되어 있다아
<난파토산>는 의태부 정류리의 평석서로서는 최초의 작품이라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아 더구나 정류리의 작자로서는 제 1인자라고 볼 수 있는 근송와 깊은 친교를 맺고, 스스로 죽본좌에 출입하면서 정류리 제작의 실제 기획에도 참여했으리라고 보여지는 수적이관의 저서라고 짐작되는 만큼, 그 가치도 크다고 본다.
(2)인형의 역할과 감정이입의 문제
<난파토산>에서 근송는 정류리가 다른 소설류 들과는 달리, 인형극의 대본이라는 것, 따라서 배우인 인간이 연기하는 가무기 이상의 效果(효과)를 올리기 위해서는 인형에게 감정을 지니게 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아 즉, 감정이입된 인형을 통해서 정류리를 살려나가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