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체능] 한국음악사 / Ⅴ.한국음악사 1. 상고 시대의 음악( B.C 28) (1) 제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24 16:24
본문
Download : 한국음악사, Ⅴ.한국음악사1. .hwp
◈ 우륵의 제자양성 - 계고 (가야금), 법지 (노래), 만덕 (춤) ② 통일신라 시대의 음악 ㉠ 음악가 백결선생, 옥보고, 속명득, 귀금 ㉡ 음악가의 일본 파견, 가야금 전파 (일본의 정창원에 ‘신라금’ 보존) ㉢ 악기 삼현삼죽(三鉉三竹), 박, 대고 ㉣ ...
Download : 한국음악사, Ⅴ.한국음악사1. .hwp( 96 )
레포트 > 예체능계열
설명
예체능 한국음악사 / Ⅴ.한국음악사 1. 상고 시대의 음악 B.C 28 1 제천
순서
Ⅴ.한국음악사 1. 상고시대의 음악(-B.C 28) (1) 제천의식 - ...
Ⅴ.한국음악사 1. 상고시대의 음악(-B.C 28) (1) 제천의식 - ...
[예체능] 한국음악사 / Ⅴ.한국음악사 1. 상고 시대의 음악( B.C 28) (1) 제천





다. Ⅴ.한국음악사 . 상고시대의 음악(-B.C 28) (1) 제천의식 - 음악의 성립 ① 부여 (영고), 고구려(동맹), 예(무천) - 삼국지‘위지 동이전’ (중국(中國)의 진수) ② 노래와 춤 ③ 종교의식과 깊은 관계를 가지고 발전 (2) 삼한 진한과 변한에 ‘슬’이라는 현악기 사용 (3) 안악고분벽화 합주, 무악도가 그려져 있어 삼국시대 이전에도 많은 음악이 연주됨을 추측. . 삼국시대의 음악 (B.C 28 - 918) (1) 고구려의 음악 ① 거문고 제작(왕산악); 6현 16괘, 현학금 → 현금→ 거문고 ② 서역음악의 유입, 서역악기의 전래 ③ 거문고, 공후, 비파, 피리 외에 10여 종의 악기사용 ④ 대륙과의 활발한 문화교류 (악기 수입, 중국(中國)에 고구려 악사 파견) (2) 백제의 음악 ① 5 - 6세기 무렵 일본에 introduce ② 삼근, 기마차, 진노, 진타 등의 음악가들이 횡적, 공후, 막목, 춤 등을 일본에 전함.(일본 서기) ③ 伎樂舞(기악무) 성행 - 미마지는 7세기 초에 오나라에서 배운 기악무를 일본에 전함. ④ 고, 각, 지, 우, 쟁, 적 등의 악기 사용 ⑤ 정읍사 , 지리산 , 무등산 등의 가요가 현재 곡목만 전함. (3) 신라의 음악 ① 가야국의 우륵을 받아들여 가야금과 춤이 성행 - 삼국사기 중 ‘악지’에 의하면 가야국 의 가실왕이 가야금을 만들고, 우륵이 악곡을 지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