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academy.co.kr 주사전자 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에 대하여 > sbsacademy3 | sbsacademy.co.kr report

주사전자 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에 대하여 > sbsacademy3

본문 바로가기

sbsacademy3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주사전자 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14 04:36

본문




Download : 주사전자 현미경-SEM [Scanni.hwp




따라서 1.4의 numerical aperture를 가진 대물렌즈를 사용하면 가시광선([λ]avg = 550nm)을 사용하는 광학현미경의 경우에는 0.2 ㎛이다. 이보다 앞서 1938년 M. von Ardenne2,3이 주사전자빔을 이용하였으나 이는 얇은시편을 투과하는 전자빔, 즉 STEM(scanning transmission electronmicroscope)이였다. 기존의 광학현미경의 최대 확대배율은 1,500배이다. 이 값이상은 해상능(Resolution)이라고 하는 렌즈(빛)의 성질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광학현미경의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전자현미경이 개발된 것이다.설명
주사전자 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에 대하여
그 다음의 발전은 주로 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과정을 improvement(개선)한 것인데 Zworykin에 의해서 처음에 사용되었던 형광스크린과 Photomultiplier는 light pipe를 이용하여 improvement(개선)되 었는데, light pipe는 scintillatior와 photomultiplier를 직접 광학적으로 연결하여 효율을 크게 높였다. 전자들은 전자기파의 波動(파동)성격을 지닌 하전된 입자로서 de Broglies equation에 따르면 전자빔의 파장은 전자들의 속도에 반비례한다. 전자 현미경의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의 속도는 가속전압에 비례하므로 짧은 파장의 전자빔을 이용하여 고배율(90 ~ 800,000배)을 얻을 수 있다.1948년 케임브리지대학의 C.W. Oatley는 Zworykin의 아이디어 에 기초를 두고 SEM의 제작을 시작하였으며 그의 대학원생인 D. McMullan은 박사학위 논문에서 500Å의 분해능까지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관계는 Abbe에 의하여 수학적으로 R = 0.61[λ]/NA로서 표시되었다. 즉 광학현미경으로는 두 점 사이가 0.2㎛보다 가까운 거리는 구별할 수 없다는 이야기가 된다






순서
SEM은 주사전자 현미경으로서 고체 상태의 미세조직과 형상을 관찰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분석기기 중 하나이다.
주사전자 현미경-SEM [Scanni-5381_01.gif 주사전자 현미경-SEM [Scanni-5381_02_.gif 주사전자 현미경-SEM [Scanni-5381_03_.gif 주사전자 현미경-SEM [Scanni-5381_04_.gif 주사전자 현미경-SEM [Scanni-5381_05_.gif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Download : 주사전자 현미경-SEM [Scanni.hwp( 21 )





다.

주사전자 현미경,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은 주사전자 현미경으로서 고체 상태의 미세조직과 형상을 관찰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analysis(분석) 기기 중 하나이다. 분해능 (Resolution)은 illumination system의 파장, 대안렌즈나 대물렌즈의 numerical aperture(NA)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관계는 Abbe에 의하여 수학적으로 R = 0.61[λ]/NA로서 표시되었다. 이 값이상은 해상능(Resolution)이라고 하는 렌즈(빛)의 성질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차이점은 유리렌즈 대신에 전자기렌즈를 사용하는 것과 빛의 파장이 다르다는 것뿐이다. 광학현미경의 작동원리나 한계에 대한 물리적 법칙들이 전자현미경에도 그대로 적용된다된다. 기존의 광학현미경의 최대 확대배율은 1,500배이다. 분해능 (Resolution)은 illumination system의 파장, 대안렌즈나 대물렌즈의 numerical aperture(NA)에 의해 결정된다.
첫번째 주사전자현미경은 1942년 Zworykin et al.1에 의해서 개발되었는데, 전자총이 현재 의 주사전자현미경과는 달리 밑에 있고 3개의 전자기 렌즈와 주사코일로 구성되어 있었고 2차전자에 의해서 형광스크린에 형성된 scintillation을 photomultiplier tube가 탐지하는 형태였다.

그 후, K.C.A. Smith은 전자광학시스템의 많은 부분에 수정을 가하여 정전기렌즈 (electrostatic lens)를 전자기렌즈(electromagnetic lens)로 교체하였고 doubledeflection scanning system을 채택하였으며 보다 나은 imaging을 위하여 gammaprocessing이라는 non-linear signal processing을 이용하였다. 즉 광학현미경으로는 두 점 사이가 0.2㎛보다 가까운 거리는 구별할 수 없다는 이야기가 된다. 이러한 detector의 improvement(개선)은 주로 T. E. Everhart 와 R. F. M. Thornley에 의 해서 개발되었는데, 따라서 이러한 detector 구성을 Everhart-Thornley detector라고 부 른다. 따라서 1.4의 numerical aperture를 가진 대물렌즈를 사용하면 가시광선([λ]avg = 550nm)을 사용하는 광학현미경의 경우에는 0.2 ㎛이다.
Total 15,823건 739 페이지
sbsacademy3 목록
번호 제목
4753
열람중
4751
4750
4749
4748
4747
4746
4745
4744
4743
4742
4741
4740
4739

검색

REPORT 11(sv76)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sbsacademy.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sbsacademy.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