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VDP 가격 속락 대응책 없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01 12:52
본문
Download : 0208.gif
올 추수감사절을 기점으로는 59달러까지 떨어지리라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국내업체들의 대응=사실상 저가형으로 굳어진 DVDP의 판매는 시장가격 논리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이어지게 될 것이란 게 업계의 공통적인 시각이다.
Download : 0208.gif( 28 )
이와 함께 china이 갖추지 못한 VCR기능을 함께 갖춘 DVDP복합기를 통한 고부가가치 수요를 창출하고, 기능과 디자인면에서 차별화된 고급제품으로 시장을 양극화하는 전략(戰略) 을 수립하고 있다. 관련업계는 시장environment(환경) 에 맞도록 저렴한 가격대의 제품을 출시해 china산 제품과 가격경쟁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지난해에 비하면 절반수준인 셈이다. ◇저가 china산 공세의 배경=china업체들이 초저가 DVDP 가격공세를 펼칠 수 있는 이유는 china의 막대한 노동력을 기반으로 한 저렴한 인건비와 함께 DVD 생산시 DVD포럼에 지불해야 하는 로열티 부담이 작기 때문으로 알려지고 있다. 올해 세계 DVD플레이어 시장규모는 지난해보다 50% 가까이 늘어난 4300여만대, 2003년에는 5000만대 규모를 형성하는 등 확산일로를 걸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
전세계적 DVDP 가격인하를 부채질하는 최대 요인은 저가 china산 제품의 급속한 보급 확산이다.
DVD포럼은 마쓰시타, 도시바, 필립스, 삼성전자, LG전자 등 DVD 관련 라이선스를 확보한 세계적인 기업들이 결성한 단체로 상호 갖고 있는 라이선스료를 정산, 관리한다.
순서
따라서 VCR와 DVD를 결합한 콤보 및 콤비형 제품에 비해 일반 단품 플레이어의 가격하락폭이 클 수밖에 없다. 최근 도시바, 파나소닉 등 일본업체들이 콤보형 제품을 속속 출시하고 있지만 이 분야에서 단품 DVDP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하락세를 보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
DVDP 가격 속락 대응책 없나
DVDP 가격 속락 대응책 없나
◇일반 DVDP 하락세 언제까지=단품 DVD플레이어의 가격 하락세는 지난해 2분기 89달러에서 올 초 64달러로 무려 20달러 이상 떨어지는 등 빠른 하락속도를 보였다.
china산 제품의 경우 이미 지난해 추수감사절을 기점으로 69달러대까지 떨어졌으며 작년 연말과 연초에는 64달러까지 떨어진 것으로 파악됐다. DVD포럼 등 DVD 로열티를 확보하고 있는 업체들은 끊임없이 china에 라이선스료 지불을 촉구해왔으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명쾌한 해결이 나지 않은 상황이다.
DVDP 가격 속락 대응책 없나
DVDP 가격 속락 대응책 없나
레포트 > 기타
설명
국내시장에도 china산 제품 유입으로 15만원 내외로까지 가격이 떨어진 상황이다.





삼성전자 신만용 부사장은 “TFT LCD에 10인치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초박형 제품을 이달 초 미국의 베스트바이 등 대형유통점에 999달러에 내놓은 결과 일주일에 200대씩 팔릴 정도로 호응이 좋다”고 말했다. 아직 전세계적으로 5% 정도의 수요에 불과한 휴대형 제품은 차량을 이용하는 수요층과 가족을 중시하는 현대사회 추세를 반영한 고객의 characteristic(특성)을 살리면 승산있는 시장이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관련 그래프/도표 보기
국내 시장규모도 지난해 17만대선에서 올해 50만∼60만대까지 300%의 급성장세가 예고되고 있어 보급물량 확대에 따른 가격하락은 피할 수 없는 대세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일반적으로 북미시장에서는 연초와 추수감사절, 크리스마스 등 3개 기간을 가격인하의 적정시점으로 보고 있다.
<전경원기자 kwjun@etnews.co.kr>
최근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미국과 유럽시장에 휴대형(포터블) DVD플레이어를 선보이는 등 적극적 대안모색에 나섰다.
DVD플레이어의 급속한 가격하락 原因은 전세계적인 DVD 대중화와 이에 따른 시장규모 확대, 그리고 이 시장에 신규진입한 china업체들의 저가·물량공세에서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