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실크로드 실크로드와 시베리아 횡단철도 / 이 병 조(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1 02:20
본문
Download : 실크로드 - 실크로드와 시베리아 횡단철도.hwp
Download : 실크로드 - 실크로드와 시베리아 횡단철도.hwp( 48 )
이 병 조(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석사과정) “철의 실크로드”1)-희망...
인문사회 실크로드 실크로드와 시베리아 횡단철도 / 이 병 조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
이 병 조(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석사과정) “철의 실크로드”1)-희망의 철도인가 -실크로드와 시베리아 횡단철도- 목차 Ⅰ. 머리말 Ⅱ. 실크로드와 시베리아 횡단철도 (1) 실크로드의 기원과 발전과정 (2) 시베리아 횡단철도의 건설과 역할 Ⅲ. 철의 실크로드 시대와 21 세기(世紀) (1) 한반도 철도와 시베리아 횡단철도 이용 시의 주변국들의 입장 ① 러시아의 입장 ② 중국(中國)의 입장 ③ Japan의 입장 (2) 철도 이용에 따른 경제적 파급效果 ① 남북한간 철도연결 시의 경제적 이점들 ② 한반도 철도와 시베리아 횡단철도 연결 시의 경제적 이점들 (3) 철도 연결 운행에 따른 drawback(걸점) ① 남북한간 철도연결 시의 문제들 ② 한반도 철도와 시베리아 횡단철도 연결 시의 문제들 Ⅳ. 맺음말 Ⅰ. 머리말 고대 그리스·로마시대부터 동서양의 두 문명은 실크로드, 향신료길, 도자기길 등 다양한 통로를 통해 문화를 교류하고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과거 상인들이 사용했던 운송수단이나 행태에 있어 많은 change(변화)가 있다아 바로 시베리아 횡단철도(TSR)가 과거 실크로드를 대신하고 있으며, 말이나 낙타 등을 대신해 화물을 수송하고 있다아 그러한 시기에 오랜 침묵을 깨고 ...
[인문사회] 실크로드 실크로드와 시베리아 횡단철도 / 이 병 조(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이 병 조(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석사과정) “철의 실크로드”1)-희망...
다. 즉 중국(中國)에서 중앙아시아와 페르시아를 거쳐 이스탄불, 아테네에 이르는 육로와 중국(中國)에서 동남아시아와 인도양을 거쳐 홍해와 페르시아만을 지나 지중해, 베네치아에 이르는 해로를 통해서, 동서양의 상인들은 무역을 했던 것이다. 아울러 동서간의 상업활동은 육로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해상을 통해서도 이루어 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