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철학론] 레닌과 철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1 08:05
본문
Download : [서양철학론] 레닌과 철학.hwp
알뛰세의 전략(strategy)적 지점은 철학과 과학과의 관계와 그 구별이며, 그 다음은 철학과 정치와의 관계즉 철학의 실천, 그리고 결정적으로 계급투쟁으로서의 철학- 철학의 당파성이다. 따라서 세계관이 이론(理論)을 통해 즉 과학이라는 것을 통해 표출되는 것이 철학이므로 과학이 없으면 남게 되는 것은 세계관 뿐이다.
[서양철학론] 레닌과 철학 - 대학 레포트(report) 제출data(자료)
알뛰세 에게 있어서, 아니 알뛰세의 레닌해석에 있어서 철학은 대상이 없으며, 철학적 커뮤니케이션이란 더더욱 우스운 것이다. 물론 `레닌의 철학`이 아닌 `레닌과 철학`과의 관계를 통해서 이다.
설명
레닌과 철학
알뛰세는 마르크시즘에서(또는 마르크시즘에 대한 해석에서 비과학성을 금그어 내고(구획선을 긋고) 마르크스 당대에 완결짓지 못한 철학이 철학내의 문제가 아닌 계급투쟁의 문제임을 드러내고자 했다. 왜냐하면 철학은 과학에 대해 사후적이며, 세계관 사이의 헤게모니 쟁취전이 이론(理論)의 영역, 즉 과학 내에서 벌어지는 것에 다름이 아니기 때문일것이다
[서양철학론] 레닌과 철학
![[서양철학론] 레닌과 철학-4431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C%84%9C%EC%96%91%EC%B2%A0%ED%95%99%EB%A1%A0%5D%20%EB%A0%88%EB%8B%8C%EA%B3%BC%20%EC%B2%A0%ED%95%99-4431_01.gif)
![[서양철학론] 레닌과 철학-4431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C%84%9C%EC%96%91%EC%B2%A0%ED%95%99%EB%A1%A0%5D%20%EB%A0%88%EB%8B%8C%EA%B3%BC%20%EC%B2%A0%ED%95%99-4431_02_.gif)
![[서양철학론] 레닌과 철학-4431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C%84%9C%EC%96%91%EC%B2%A0%ED%95%99%EB%A1%A0%5D%20%EB%A0%88%EB%8B%8C%EA%B3%BC%20%EC%B2%A0%ED%95%99-4431_03_.gif)
![[서양철학론] 레닌과 철학-4431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C%84%9C%EC%96%91%EC%B2%A0%ED%95%99%EB%A1%A0%5D%20%EB%A0%88%EB%8B%8C%EA%B3%BC%20%EC%B2%A0%ED%95%99-4431_04_.gif)

철학은 `분열한다`는 기본적인 사실로 인해 철학적 꼬뮈니까씨용communication은 불가능하다.
Download : [서양철학론] 레닌과 철학.hwp( 89 )
1. `철학적`인 `철학`은 없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정치지도자인 레닌이 철학을 특히 강단 철학을 용납지 않는 이유는 본인 스스로가 철학을 정치투쟁으로 보기 때문일것이다 레닌에게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것은 철학자들이 비판하는 그의 철학에 대한 전비판적인 성격과 범주가 아니라, 바로 `철학을 실천한다는 것`(이론(理論)의 장에서-과학성을 갖고- 정치적인 투쟁을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특히 이러한 투쟁은 충돌하는 두 개의 경향(관념론과 유물론이라는 세계관) 내에서 벌어지는 투쟁이다. ..
다. 알뛰세는 계급투쟁이 이론(理論)의 영역에서 벌어지는 것을 철학으로 보았다.
[서양철학론] 레닌과 철학
[서양철학론] 레닌과 철학 - 대학 레포트 제출자료
... 철학내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모든 것도 사실은 그 바깥에서, 유일한 실제 역싸인 인간의 물질적 삶의 역싸내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충돌하는 두 경향은 실제정치의 영역에서도 충돌하는데, 세계관의 헤게모니 투쟁의 일부인 철학역시 정치적일 수 밖에 없으며, 정치가 없고, 과학이 없는 즉 `순철학적`인 토론이나 특히 꼬뮈니까씨용은 넌센스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