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하구에 설치된 어도 / 하구에 설치된 어도(魚道)의 現況(현황) 과 이용 1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4 01:29
본문
Download : [레포트] 하구에 설치된 어도.hwp
표 1 어도 이용 생물의 소하 습성 습 성 어 종 비 고성어가 소상하여 산란한 후 치어가 바다로...
설명
하구에 설치된 어도(魚道)의 現況(현황) 과 이용 1. 어도의必要性 어도(魚道)란...
Download : [레포트] 하구에 설치된 어도.hwp( 69 )
순서
레포트 하구에 설치된 어도 / 하구에 설치된 어도魚道의 현황과 이용 1
레포트 > 기타
[리포트] 하구에 설치된 어도 / 하구에 설치된 어도(魚道)의 現況(현황) 과 이용 1
![[레포트] 하구에 설치된 어도-1032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0/%5B%EB%A0%88%ED%8F%AC%ED%8A%B8%5D%20%ED%95%98%EA%B5%AC%EC%97%90%20%EC%84%A4%EC%B9%98%EB%90%9C%20%EC%96%B4%EB%8F%84-1032_01.gif)
![[레포트] 하구에 설치된 어도-1032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0/%5B%EB%A0%88%ED%8F%AC%ED%8A%B8%5D%20%ED%95%98%EA%B5%AC%EC%97%90%20%EC%84%A4%EC%B9%98%EB%90%9C%20%EC%96%B4%EB%8F%84-1032_02_.gif)
![[레포트] 하구에 설치된 어도-1032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0/%5B%EB%A0%88%ED%8F%AC%ED%8A%B8%5D%20%ED%95%98%EA%B5%AC%EC%97%90%20%EC%84%A4%EC%B9%98%EB%90%9C%20%EC%96%B4%EB%8F%84-1032_03_.gif)
![[레포트] 하구에 설치된 어도-1032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0/%5B%EB%A0%88%ED%8F%AC%ED%8A%B8%5D%20%ED%95%98%EA%B5%AC%EC%97%90%20%EC%84%A4%EC%B9%98%EB%90%9C%20%EC%96%B4%EB%8F%84-1032_04_.gif)
![[레포트] 하구에 설치된 어도-1032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0/%5B%EB%A0%88%ED%8F%AC%ED%8A%B8%5D%20%ED%95%98%EA%B5%AC%EC%97%90%20%EC%84%A4%EC%B9%98%EB%90%9C%20%EC%96%B4%EB%8F%84-1032_05_.gif)
하구에 설치된 어도(魚道)의 현황과 이용 1. 어도의필요성 어도(魚道)란...
다. 하구에 설치된 어도(魚道)의 present condition과 이용 . 어도의피료썽 어도(魚道)란 하천에 댐이나 보(洑)등의 수리구조물을 설치하게 되면 이 하천을 오르내리며 살던 어류의 원활한 이동이 어려워지므로 이들의 계속적인 이동이 가능토록 만들어진 수리구조물을 말한다1). 즉 하구(河口)에 보나 댐을 설치하면 바다를 왕래하며 서식하던 은어, 뱀장어, 참게 등의 소하성(遡河性)생물의 이동통로가 막히게 되어 댐의 상류에서는 이들이 멸종하게 되며, 내륙의 댐에 어도를 설치하지 않으면 이 지역에서 국지회유(局地回遊)하던 어류, 저서생물(底棲生物), 양서류(兩棲類) 등의 수서(水棲)생물의 이동통로가 막히게 되어 이들이 멸종하게 된다 수산자원보호령 12조 2항에 `하천의 전유폭(全流幅)을 차단하는 공작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자는 수산청장과 협의하여 하천의 일부를 개방하거나 어도를 설치하여 소하(遡河) 어류의 통로를 확보해야 한다.` 는 조항이 신설되면서 어도의 설치가 의무화되었고 동법 31조에는 12조 2항의 규정을 위반한 자에게는 2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는 벌칙조항이 있으나 댐에는 어도를 의무화하지 않았고 법이 홍보되지 않아 어도를 시공하지 않고 있으나 최근 環境(환경)부에서는 수산자원보호령의 단서조항을 철폐하려는 움직임이 있고 環境(환경)影響(영향)평가 과정에서 댐에도 어도를 설치하도록 유도하고 있어 최근에는 댐에도 어도를 설치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아 2. 어도가 필요한 생물 은어나 뱀장어, 참게처럼 바다와 하천을 왕래하며 서식하는 소하성(遡河性) 생물과 하구에서 배수갑문(排水閘門) 개방시 잘못 나간 붕어, 잉어, 강준치 등 담수생물의 이동을 위하여 댐이나 보에는 어도가 필요한데 우리 나라 서남해안에 분포하는 생물 중에서 어도가 필요한 대표적인 어종은 다음과 같다. 다만 공작물이 댐인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