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st] 이철괴를 통해 본 산대놀이의 역싸 / 이철괴를 통해 본 산대놀이의 역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6 07:23
본문
Download : 이철괴를 통해 본 산대놀이의 역사.hwp
그리하여 윤광봉,1) 사진실,2) 전경욱,3) 박진태4)는 〈남성관희자〉와 양주별산대놀이를 비교하여 인물(탈)과 놀이마당의 동일성에 근거하여 계통적 선후관계를 밝히려 하였다. 이처럼 기왕의 연구에서는 18세기 본산대놀이와 현전하는 별산대놀이 사이의 공통점을 찾는 데 주력하였기 때문에 양자 사이의 차이점, 이를테면 본산대놀이에 염불놀이, 침놀이, 신장수놀이, 의막사령놀이가 성립되어 있지 않은 사실을 통해 연극사적 거리를 이해하려는 접근은 소홀히 하였으며, 무엇보다 벽사탈인 본산대놀이의 철괴선(鐵拐仙)과 별산대놀이의 연잎과 눈끔적이의 상호관련성에 대하여는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10) 그러나 취발이는 철괴리가 아니라 취승이 변모한 것으로 ...
이철괴를 통해 본 산대놀이의 역싸 1. 머리말 강이천(17691801)...
이철괴를 통해 본 산대놀이의 역싸 / 이철괴를 통해 본 산대놀이의 역싸
강이천(17691801)이가 관극시 〈남성관희자〉에 기록한 산대놀이는 현전하는 별산대놀이의 고형일 개연성 때문에 고전극 연구자들의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그 결과 대체로 상좌, 노장, 취승(취발이), 유생(샌님), 무부(포도부장), 할미가 일치하는 점에서 상좌놀이, 노장놀이, 취발이놀이, 포도부장놀이, 할미놀이가 18세기 본산대놀이에 이미 성립되었다고 보는 데는 공통된 견해를 보였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이철괴를 통해 본 산대놀이의 역사 / 이철괴를 통해 본 산대놀이의 역사
이철괴를 통해 본 산대놀이의 history
설명
1. 머리말
철괴선에 대하여는 윤광봉이 China 팔선의 하나인 철괴리(鐵拐李)라는 사실을 지적한9) 이후 조만호가 원대의 신선도화극(神仙道化劇)과 우리 탈춤의 관련성을 제기하며 철괴리의 봉두난발(蓬頭亂髮)한 모습과 양광성(佯狂性)이 취발이와 상통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상좌 다음으로 등장한 당의녀(唐衣女)에 대하여는 사진실은 왜장녀의 전신인 당녀(唐女)로 보고,5) 박진태는 천녀의 농주희로 보고,6) 전경욱은 팔선녀로 보는7) 식으로 극심한 이견을 보였다. 박진태도 ‘눈썹을 찡긋하는’ 철괴선을 눈끔적이로 추정하기만 하고8) 구체적인 고증 작업을 시도하지 않았다.
순서
Download : 이철괴를 통해 본 산대놀이의 역사.hwp( 20 )
이철괴를 통해 본 산대놀이의 역사 1. 머리말 강이천(17691801)...
다. 그리고 거사와 사당에 대하여도 하나같이 봉산탈춤의 사당과만 관련시키고 양주별산대놀이의 애사당과의 상관성에는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