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오행, 육기를 기반으로한 오장의 생리기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21 11:46
본문
Download : 음양오행, 육기를 기반으로한 오장의 생리기능.hwp




설명
1. 폐
폐는 오행 중 금에 속하며, 육기에서는 조의 속성을 지니며, 음양으로 구분하면 음양의 속성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편으로 치우쳐서 생각할 수 없는 장이다.다. 이러한 정황으로 볼 때 금의 속성인 하강과 숙살은 곧 폐주숙강으로 귀결된다 숙강이란 ‘기를 맑게 하여 내려보낸다’는 뜻으로 폐가 오장 가운데 가장 높은 위치에 있으면서 외부로부터 들어온 기와 비에서 올라온 청기를 결합시켜 진기를 만들어 아래에 있는 장으로 내려보낸다는 의미이다.
조를 곰곰이 생각해 보면 습이 있는 상태에서 없는 상태로 넘어가는 상태이므로 습을 말리는 이미지이다. 토가 이를 중앙에서 중재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습을 없애는 데…(省略)
2. 신
순서
레포트/생활전문
Download : 음양오행, 육기를 기반으로한 오장의 생리기능.hwp( 42 )
,생활전문,레포트
음양오행으로장상론설명(說明)하기
음양오행, 육기를 기반으로한 오장의 생리기능
음양오행으로 오장의 기능, 위치, 역할을 정리하였습니다. 심과 더불어 상초에 위치하여 폐주기를 하므로 양의 수장이기도 하지만 수의 상원으로서 체내 수액대사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양중지태음의 장기이므로 음의 속성을 모두 갖고 있기 때문이다
오행에서 실제로 變化의 두 축은 수화이지만 이 變化를 일으키는 움직임, 즉 變化하는 양상을 드러내는 것은 목과 금으로서, 목은 수에서 화로 상승하는 움직임, 금은 화에서 수로 하강하는 움직임의 표현이다.음양오행으로장상론설명하기 , 음양오행, 육기를 기반으로한 오장의 생리기능생활전문레포트 ,
음양오행으로 오장의 기능, 위치, 역할을 요점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