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의학] Frozen Shoulder[동결견; 오십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22 06:50
본문
Download : [재활의학] Frozen Should.hwp
경과는 동통기, 유착기, 회복기의 3기로 구분
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밤에 쑤셔서 잠을 자기가 어렵고 통증이 손목, 목덜미, 등까지 까지 뻣치기도하고 어깨주위 근육에 심한 압통이 나타난다.대부분 요인을 알 수 없으나 일부에서는 경미한 관절의 염좌(삠)를 호소 하기는 하지만 그것이 요인인지 아니면 오십견의 초기 증상인가는 확실치 않다.
레포트 > 의학계열
Download : [재활의학] Frozen Should.hwp( 19 )
순서
오십견이란 통증과 운동성의 소실을 주 증상으로 나타내는 질환으로 특히 50대 이후에 많이 발생함으로 오십견이라 명명되고 또는 관절이 얼어 붙었다는 뜻으로 동결견이라고도 불리며 견관절의 characteristic(특성)인 큰 운동성이 소실됨으로서 일상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유발한다.
인구의 약 2-3%가 발병하며 대개 40세 이후 특히 50대에 가장 흔히 발생하며 남녀의 비율은 약 3:7정도로 여자에게 더 많이 발생하며 한쪽에 오십견이 발생한 경우 다른 팔에 발생할 확율은 10-20%이며 약 15%는 양측성으로 발생하고 사무직 노동자 육체노동자보다 더 많이 발생한다.
[재활의학] Frozen Shoulder[동결견; 오십견]
3-8개월 지속되며 통증이 점차 증가되고 어깨가 뻣뻣하며 어깨운동시 심한 통증을 보인다.
오십견이란 통증과 운동성의 소실을 주 증상으로 나타내는 질환으로 특히 50대 이후에 많이 발생함으로 오십견이라 명명되고 또는 관절이 얼어 붙었다는 뜻으로 동결견이라고도 불리며 견관절의 특성인 큰 운동성이 소실됨으로서 일상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유발한다. 동결견 임상양상
동통기(painful stage)
설명
![[재활의학] Frozen Should-4742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E%AC%ED%99%9C%EC%9D%98%ED%95%99%5D%20Frozen%20Should-4742_01.jpg)
![[재활의학] Frozen Should-4742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E%AC%ED%99%9C%EC%9D%98%ED%95%99%5D%20Frozen%20Should-4742_02_.jpg)
![[재활의학] Frozen Should-4742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E%AC%ED%99%9C%EC%9D%98%ED%95%99%5D%20Frozen%20Should-4742_03_.jpg)
![[재활의학] Frozen Should-4742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E%AC%ED%99%9C%EC%9D%98%ED%95%99%5D%20Frozen%20Should-4742_04_.jpg)
![[재활의학] Frozen Should-4742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E%AC%ED%99%9C%EC%9D%98%ED%95%99%5D%20Frozen%20Should-4742_05_.jpg)
재활의학,Frozen Shoulder,동결견,오십견
초기에 약간의 뻐근함이나 운동시 통증이 있으나 환자는 삐었거나 잠을 잘못 잦다고 생각하고방치하나 점차 통증이 증가하고 밤에 쑤시어 잠을 자기가 어렵고 머리를 감거나 등을 긁는데 어려움이 있어 병원에 내원 하게 된다된다.
오십견은 특별한 요인 없이 발생하는 특발성 오십견과 다른 질환에 병발되어 발생하는 이차성 오십견으로 구분되며 동결견, 유착성견관절염, 견관절주위염, 유착성점액낭염등으로도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