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연구사의 검토와 기존 북한 연구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24 15:13
본문
Download : 북한 연구사의 검토와 기존 북한 연구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hwp
북한 연구사의 검토와 기존 북한 연구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설명






북한 연구사의 검토와 기존 북한 연구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목차
Ⅰ. 북한 연구사의 검토
1. 지배이데올로기 구축기(政府(정부)수립~한국전쟁 정전)
2. 지배이데올로기 정착기(한국전쟁 정전~4월혁명)
3. 저항이데올로기 표면화 시기(4.19혁명~5.16쿠데타)
4. 지배이데올로기 재구축 및 강화시기(5.16~광주항쟁)
5. 민족 · 민중 · 자주통일의 저항이데올로기 강화기(광주항쟁~남북합의서채택)
6. 이데올로기 각축기(남북합의서 이후)
Ⅱ. 기존 북한 연구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전체주의적 접근
2. 동원정권모형
3. 수렴理論
4. 역사(歷史) · 文化적 접근법
5. 행태주의적 접근방법
6. 평면적 비교방식
7. 주체사관에 입각한 서술
* bibliography
I. 북한 연구사의 검토
우리는 북한 연구사도 인식의 이데올로기성과 과학자 성원간의 힘관계에 의해
정형화되어 봤다고 볼 수 있다아 지배이데올로기를 강화하여 체제유지에 이용하
려는 것과 이에 전적으로 영합하여 북한사회를 주어진 틀밖의 차원에서 分析 및
이해할 엄두를 내지 못하는 북한연구 즉 관변연구, 비록 관의 기계적인 시각에
동의하지는 않지만 자본주의체제의 역사(歷史)적 진보성을…(투비컨티뉴드 )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북한 연구사의 검토와 기존 북한 연구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북한 연구사의 검토와 기존 북한 연구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인문사회레포트 , 북한 사 검토와 기존 북한 방법 비판적 검토
북한,사,검토와,기존,북한,방법,비판적,검토,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북한 연구사의 검토와 기존 북한 연구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hwp( 75 )
북한 연구사의 검토와 기존 북한 연구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