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무의 歷史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28 08:35
본문
Download : 한국 무의 역사.hwp
예를 들어 망자천도의례인 진오기굿은 서울·경기·황해도 지역에서 부르는 명칭이고, 충청도에서는 오구굿, 함경도는 망묵이굿, 평안도는 수왕굿, 강원도는 오구자리, 전라도는 씻김굿이라 하며 제주도는 시왕맞이라고 부른다. 또 제갓집을 위한 굿과 마을 전체를 위한 마을굿으로 나눠 볼 수도 있겠다.
천신(薦神)굿 - 새로 추수한 곡식을 신령에게 바치며 집안의 평온을 기원하는 굿으로 평민들의 경우엔 재수굿…(투비컨티뉴드 )
굿은 형태에 따라 크게 선굿과 앉은굿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 마을굿의 경우 그 지역의 동제와 결합하여 큰 지역적 축제가 되기도 하는 바 강릉단오굿이 그 예가 된다된다.
다음은 굿의 내용에 따른 분류이다. 선굿은 무당이 서서 하는 굿으로 일반적인 굿을 뜻하고, 앉은굿은 충청도 지역에서 무당... , 한국 무의 역사인문사회레포트 ,
다.
Download : 한국 무의 역사.hwp( 26 )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굿은 형태에 따라 크게 선굿과 앉은굿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선굿은 무당이 서서 하는 굿으로 일반적인 굿을 뜻하고, 앉은굿은 충청도 지역에서 무당...






한국 무의 歷史
굿은 형태에 따라 크게 선굿과 앉은굿으로 구분할 수 있따 선굿은 무당이 서서 하는 굿으로 일반적인 굿을 뜻하고, 앉은굿은 충청도 지역에서 무당이 앉아서 주로 독경을 한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한편 같은 목적의 굿이라 하더라도 지역에 따라 내용이나 명칭이 조금씩 다르다.
또 어느 한 지역에서 특징적으로 전승되는 굿이 있는데 이를테면 만구대탁굿은 황해도 지역의 나이든 큰 무당들이 자신의 무업을 기리기 위해 하는 굿으로 규모와 제차가 다른 굿과는 사뭇 차이가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