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례와 제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1 18:17
본문
Download : 전통의례.hwp
황후는 황색 원삼, 왕비는 홍색 원삼, 비빈은 자색원삼, 공주나 옹주는 녹색 원삼을 입었는데, 그 중에서 녹색 원삼이 서민층의 혼례식에 그 사용이 허용되었다. ․원삼(圓衫) 고려시대부터 대례복으로 궁중 여인들과 신부의 웃옷으로 사용되어 왔다. 한삼은 손을 가리기 위하여 옷소매 끝에 흰 헝겊으로 길게 덧대는 소매를 말한다.설명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전통의례.hwp( 62 )
혼례와,제례,혼례의유래와,변천과정,혼례,의상,제례의역사와,변천과정,전통제례의변화,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서론>, 《혼례》, 1. 혼례의 정의, 2. 혼례의 의의, 3. 혼례의 유래와 변천과정, 4. 혼례 의상, 5. 전통과 현대의 비교, 5. 결론 및 전망, , 《제례》, 1. 제례의 정의와 의의, 2. 제례의 기원, 3. 제례의 역사와 변천과정, 4. 제례의 대상, 5. 제례의 종류, 6. 전통제례의 절차, 7. 제사상 차림(陳設) 기본원칙, 8. 전통제례의 변화, 9. 종교식 제례, 10. 결론, , , , FileSize : 423K , 혼례와 제례 인문사회레포트 , 혼례와 제례 혼례의유래와 변천과정 혼례 의상 제례의역사와 변천과정 전통제례의변화
<서론>
《혼례》
1. 혼례의 definition
2. 혼례의 의의
3. 혼례의 origin와 변천과정
4. 혼례 의상
5. 전통과 현대의 비교
5. 結論 및 전망
《제례》
1. 제례의 definition 와 의의
2. 제례의 기원
3. 제례의 history와 변천과정
4. 제례의 대상
5. 제례의 종류
6. 전통제례의 절차
7. 제사상 차림(陳設) 기본원칙
8. 전통제례의 變化(변화)
9. 종교식 제례
10. 結論
4. 혼례 의상 ① 신부 의상 ․스란치마와 대란치마 스란치마는 소례복에 입고, 대란치마는 대례복에 입던 치마이다. 밍간에서는 왕실과 달리 소매에 홍색 청색 황색 분홍색 흑생의 오색 색동을 넓게 대고 한삼을 덧붙였다. 홍색 대대는 계급에 따라 금박 무늬가 달랐는데, 황색 원삼에는 용무늬가, 자색 원삼에는 봉 무늬가, 녹색 원삼에는 꼭 무…(To be continued )
<서론>, 《혼례》, 1. 혼례의 정이, 2. 혼례의 의의, 3. 혼례의 유래와 변천과정, 4. 혼례 의상, 5. 전통과 현대의 비교, 5. conclusion 및 展望(전망) , , 《제례》, 1. 제례의 정이와 의의, 2. 제례의 기원, 3. 제례의 역싸와 변천과정, 4. 제례의 대상, 5. 제례의 종류, 6. 전통제례의 절차, 7. 제사상 차림(陳設) 기본원칙, 8. 전통제례의 change(변화), 9. 종교식 제례, 10. conclusion , , , , data(資料)크기 : 423K






혼례와 제례
다. 가례나 길례 때는 속에도 남색 스란치마를 입고, 평상시에는 민치마를 입었다. 원삼은 옷의 색깔에 따라 같은 색으로 깃을 대고, 소매에는 궁중복의 경우 홍색과 황색의 색동을 좁게 달았고, 소맷 보리에는 한삼을 덧댔다. 금박 무늬가 찍힌 천을 덧댄 스란단을 한 층 붙인 것이 스란치마이고, 두 층 붙인 것이 대란 치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