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 위험범죄의 이론(理論)과 위험사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2 08:41
본문
Download : 위험범죄의 이론과 위험사회.hwp
실질범을 침해범과 위험범으로 나누는 데는 대개 理論(이론)이 없다. 위에서 실질범을 침해범과 위험범으로 나누었다. 이 중 위…(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위험범죄의 이론과 위험사회.hwp( 94 )
레포트/인문사회
I. 서문, II. 추상적위험범, III. Zieschang과 추상적 위험범, IV. Wohlers와 위험범, V. 위험사회와 형법의 변화, VI. 추상적 위험범의 기능론적 정당화에 , 대한 논의, VII. 총결, , FileSize : 100K , [범죄] 위험범죄의 이론과 위험사회인문사회레포트 , 위험범죄 위험사회 정당화
I. 서문, II. 추상적위험범, III. Zieschang과 추상적 위험범, IV. Wohlers와 위험범, V. 위험사회와 형법의 변화, VI. 추상적 위험범의 기능론적 정당화에 , 대한 논의, VII. 총결, , filesize : 100K
설명
순서
[범죄] 위험범죄의 이론(理論)과 위험사회






다. 이에 대하여 실질범중의 침해범이라 함은 당해 법률의 직접 보호하려는 범익을 현실적으로 침해하는 행위를 말하며 이에 대하여 그러한 법익에 대하여 침해의 위험을 생기게 하는 행위 ---------------------------- * 본 연구는 2001연도 학술원연구재단의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를 위험범이라고 말한다.
위험범죄,위험사회,정당화,인문사회,레포트
I. 서문
II. 추상적위험범
III. Zieschang과 추상적 위험범
IV. Wohlers와 위험범
V. 위험사회와 형법의 alteration(변화)
VI. 추상적 위험범의 기능론적 정당화에
대한 논의
VII. 총결
우리형법학은 Japan과 독일의 형법학에 따라 범죄를 실질범과 형식범으로 나누고, 실질범을 침해범과 위험범으로 분류하여 왔다. 실질범이라 함은 법익에 대한 침해 또는 위험을 내용으로 하는 범죄이며 이에 대하여 형식범이라 함은 법익에 대한 침해 또는 위험을 내용으로 하지 않고 단순한 행정상의 의무위반을 내용으로 하는 범죄를 말한다. 가령 각종 행정단속법규에 규정된 신고의무위반, 보고의무 위반 등이 이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