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복음서에 나타난 유대인의 대로마 입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3 17:50
본문
Download : 요한복음서에 나타난 유대인의 대로마 입장.hwp
왕권 문제
▸ 유대인들의 기대
ꋯ 메시아 사상과 관련
- 메시아 = 왕 (이스라엘 독립 희망. 다윗 계보 정치적 왕; ≠ 하나님)
* 예수 ≠ 메시아 ≠ 왕
예수 = ?
예수 = 하나님 ? --> 유대 신앙으로는 허용 불가 --> 예수 ≠ 하나님. conclusion(결론): 예수 ≠ 메시아 ≠ 왕 ≠ 하나님
유대인의 숨은 논리: 하나님 ≠ 왕 (유대 전통에 위배되는 논리적 모순발생)
하나님 ≠ 메시아(유대 전통 Divine Messiah≠하나님)
▸ 요한공동체의 주장
ꋯ메시아 사상 + 하나님 왕권 사상
- 메시아 = 왕 (conclusion(결론)적으로 요한공동체는 왕의 identity를 하나님으로 규정)
* 예수 = 메시아 = 왕
* 예수 = 하나님
conclusion(결론): 예수 = 왕 = 메시아 = 하나님
요한공동체의 숨은 논리: 하나님 = 왕(유대 전통 계승)
하나님 = 메시아(유대 전통에는 없는 독특한 사상)
▸ 유대인과 요한공동체의 대결
* 하나님 ≠ 왕 vs 하나님 = 왕: 하나님 왕권 전승 계승(요공의 정통성 우위) …(drop)
요한복음서에 나타난 유대인의 대로마 입장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요한복음서에 나타난 유대인의 대로마 입장.hwp( 54 )
유대인들은 로마 제국이 하나의 식민 통치 이데올로기로서 강조하였던 황제의 신격화 정책, 즉 신-왕 일치 사상에 대하여 신으로서의 황제도, 왕으로...
유대인들은 로마 제국이 하나의 식민 통치 이데올로기로서 강조하였던 황제의 신격화 정책, 즉 신-왕 일치 사상에 대하여 신으로서의 황제도, 왕으로... , 요한복음서에 나타난 유대인의 대로마 입장인문사회레포트 ,
다.
유대인들은 로마 제국이 하나의 식민 통치 이데올로기로서 강조하였던 황제의 신격화 정책, 즉 신-왕 일치 사상에 대하여 신으로서의 황제도, 왕으로서의 황제도 받아들이기 어려운 입장에 놓여 있었다. 전자는 그들의 오랜 유일신 신앙 전통에 위배되는 일이고, 후자는 유대의 피지배 상태에 대한 굴욕적인 수용을 의미하는데서 나아가 초기 이스라엘에서부터 내려오는 ‘하나님이 이스라엘의 왕’이라는 하나님 왕권에 대한 부인을 뜻하기도 하였기 때문에 유대인으로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