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국가정보화 우리손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27 12:20
본문
Download : 080403111604_.jpg





순서
한편,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옛 정통부에서 이관받은 것으로, 대전센터와 광주센터로 각각 운영되고 있으며 현재 12팀으로 구성됐다. 정보기반정책관 산하에는 정보자원정책과, 정보표준화과, 유비쿼터스기반과, 정보화인력개발과 4개가 소속됐다.
설명
행안부 국가정보화 우리손으로
Download : 080403111604_.jpg( 78 )
행안부 국가정보화 우리손으로
우선, 정보화전략(strategy)실은 임우진 정보화전략(strategy)실장과 조명우 정보화기획관, 장광수 정보보호정책관, 박성권 정보기반정책관 3명의 국장 체제로 출발하게 됐다.
행안부 국가정보화 우리손으로
다.
보안정책과는 개인정보보호·민간정보보호·전자인증·정보文化(문화)·정보격차 해소 정책수립 및 조정 총괄 역할을 하게 됐다. 서비스정보화과는 서비스정보화 정책개발 및 시책사업 추진을 각각 맡는다. 전자인증과는 전자서명 관련 법령 제·개정을, 정보文化(문화)과는 정보통신기술의 사회적 파급효능 분석 및 대응에 관한 사항을 책임진다.
이명박정부 들어 행안부는 정부조직개편과 부처별 업무조정을 통해 옛 정보통신부의 정보화 관련 업무와 조직을 이관받아 확대 개편됨으로써 명실상부한 전자정부 주무부처로 조명받게 됐다. 또 정보보호정책관은 보안정책과, 개인정보보호과, 전자인증과, 정보文化(문화)과의 4개 정보보호 관련 과로 구성됐다. 개인정보보호과는 국가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기본정책 수립과 총괄 조정을 맡는다. 정책의 연속성을 꾀하기 위한 것이다.
레포트 > 기타
임우진 정보화전략(strategy)실장은 “정보화전략(strategy)실이 설치됨에 따라 국가정보화 전략(strategy)을 일관되게 추진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됐다”며 “국가 및 정보화 분야 전반을 재평가하고 새로운 전략(strategy)과 비전을 갖고 나아가 국민의 신뢰와 지지를 받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 정보화평가과는 정보화투자 성과관리체계 연구 및 제도improvement을, 행정정보화과는 행정·지역정보화 정책의 연구·기획·조정·총괄 및 기본계획 수립을 담당하게 됐다.
정보화기획관은 정보화기획과, 정보화제도과, 정보화평가과, 행정정보화과, 서비스정보화과 5개를 거느리게 됐다. 특히 정보화전략(strategy)실은 기존 전자정부본부와 옛 정통부 정보화 관련 업무를 확대·개편, 국가정보화 산실로 떠올랐다. 유비쿼터스기반과는 정보통신 융합과 정보화촉진에 관한 정책의 수립 및 추진을, 정보화인력개발과는 정보화책임관 및 관리직공무원 정보화교육계획의 수립과 추진을 각각 책임진다.
행안부 국가정보화 우리손으로
정소영기자 syjung@
정보자원정책과는 행정정보자원관리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행을, 정보표준과는 정보화 관련 표준화정책 수립과 시행을 맡는다.
특징적인 것은 옛 정통부에서 이관된 정보보호와 유비쿼터스 및 정보文化(문화) 관련 기능들이 정보보호정책관과 정보기반정책관 산하 과들에 고루 분배됐다는 것이다.
정보화기획과는 국가사회 정보화와 전자정부 정책수립 및 조정을, 정보화제도과는 국가사회 정보화촉진 및 전자정부 법제도 improvement 및 연구 등을 책임지게 됐다.
행정안전부가 전자정부 및 국가 정보화 주관부처로 거듭났다.
기존 전자정부본부는 1본부 1관 9팀 1센터였으나 새로 확대 개편된 정보화전략(strategy)실은 1실 3관 13과로 몸집이 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