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성의 `원야`를 읽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13 20:01
본문
Download : 계성의 `원야`를 읽고…….hwp
서평감상/서평
4. 흥조론(興造論)에 대하여
계성은 원림 조영활동의 경험에서 우러나온 독창적인 조영관과 조영이론(理論)을 『園冶』의 「興造論」에서 총괄적으로 언급하였다. 「興造論」은 계성의 원림조영이론(理論)의 체계를 요약하고 있으며, 원림의 조영을 주관하는 주체의 성격과 역할을 분명히 하였고 이러한 주체가 원림을 조영함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수행해야할 행위에 관해 개괄하고 있다아
그리고 「園說」은 「興造論」에 대한 각론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아
4-1. 흥조론의 goal(목표)
「원설」에서 살펴보면 계성은 원림이 도달하여야 할 최종 goal(목표) 를 `수유인작(雖由人作) 완자천개(宛自天開)`로 제시하고 있다아 즉, `비록 사람이 만들어낸 것이지만 완연히 하늘의 조화로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원림을 설정하였다.
설명
,서평,서평감상
china 조경 및 건축의 고전적 theory 서인 `원야`를 읽고 원야의 해석 및 특징과 원림조영theory 의 체계를 요약하고 정리(整理) 한 흥조론(興造論)에 대해서 기술했습니다. , 계성의 `원야`를 읽고……서평서평감상 ,
Download : 계성의 `원야`를 읽고…….hwp( 96 )






다. 이것은 원림이 이루어야 할 최종의 goal(목표) 이자 계성이 추구하였던 이상적인 원림을 나아가 中國원림이 이루고자 했던 goal(목표) 라 할 수 있다아 비록 인간의 손을 통해서 이루어진 원림이라 할지라도 천연적으로 이루어진 것과 같은 자연의 아취가 담겨져 있으며, 자연과 환경과 경관의 내적 질서가 담겨져 있는 원림을 계성은 추구하였다고 볼 수 있다아 그러므로 앞으로 언급…(생략(省略))
순서
계성의 `원야`를 읽고……
중국 조경 및 건축의 고전적 이론서인 `원야`를 읽고 원야의 해석 및 특징과 원림조영이론의 체계를 요약하고 정리한 흥조론(興造論)에 대해서 기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