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기준법상 근로자 대표의 관념과 서면합의의 효력 등에 관한 해석기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18 08:39
본문
Download :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대표의 개념과 서면합의의 효력 등에 관한 해석기준.hwp
근로기준법상근로자대표의개념과서면합의의효력등에관한해석기준 ,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대표의 개념과 서면합의의 효력 등에 관한 해석기준법학행정레포트 ,
,법학행정,레포트
2. 해석기준
① 근로자의 범위 및 근로자 대표의 선정단위
가. 근로자 대표를 선출하는 근로자의 범위
근로자 대표를 선출하는 근로자의 범위, 즉 노동조합이 근로자의 과반수를 조직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근로자의 범위와 근로자 대표를 선출함에 있어 투표에 참여하는 근로자 범위는 다음과 같이 산정함.
따라서 근로자와 사용자의 이중적 지위를 갖는 자는 제외되는 바, 이는 설사 이들이 근로자로서 향후 합의내용의 적용을 받더라도 노사서면 합의과정에서는 사용자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로 볼 수 있기 때문임.
나. 근로자 대표의 선정단위
근로자 대표는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 단위로 선정되어야 함. 따라서 하나의 사업이 수개의 사업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근로시간제도를 사업단위로 도입하고자 하면 근로자 대표는 사업단위로 선정하고, 또는 일부 사업장에만 도입하고자 하면 사업장단위로 선정해야 함.
동일사업 또는 사업장내의 일부 부서에만 적용하고자 하더라도 근로자대표는 반드시 사업 또는 사업장 단위로 선정하여야 함. 근로자대표를 선정하는 범위는 반드시 노동조합의 조직범위, 노사협의회의 구성단위와 일치할 필요…(생략(省略))
설명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대표의 관념과 서면합의의 효력 등에 관한 해석 기준에 상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Download :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대표의 개념과 서면합의의 효력 등에 관한 해석기준.hwp( 38 )
근로기준법상근로자대표의관념과서면합의의효력등에관한해석기준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대표의 관념과 서면합의의 효력 등에 관한 해석기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대표의 개념과 서면합의의 효력 등에 관한 해석 기준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