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물류중심지로의 발전방안(方案)과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06 06:49
본문
Download : 동북아 물류중심지로의 발전방안과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hwp
中國을 경유하는 남북간의 교류는 당분간 초보적인 교역에 머무를 수 밖에 없겠지만, 추후 단동-신의주를 함께 개발하는 공동지역개발의 수립도 가능할 것이다. 1. 제한적 교류시기
◦ 일차적으로 제한적 교류시기에서는 북한의 입장이 배려될 것이므로 이미 개방을 표방한 나진/선봉지구와 금강산, 그리고 신의주 경제특구가 연결고리의 대상지역으로 대두될 것이다.
순서






동북아 물류중심지로의 발전방안(方案)과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설명
Download : 동북아 물류중심지로의 발전방안과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hwp( 23 )
동북아물류중심지로의발전방안(方案)과발전전략에관한연구
동북아 물류중심지로의 발전방안과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
2. 화해와 협력 시기
◦ 두 번째 단계인 남북한이 화해와 협력의 시기에 접어들면, 우선적으로 협의…(To be continued )
동북아 물류중심지로의 발전방안(方案)과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
◦ 현재 토지공사의 공단개발이나 기독교 연합회의 두레마을 조성과 같은 사업은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남한기업의 투자와 함께 나진/선봉지구의 수송·물류거점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인프라에 대한 투자도 적극 지원될 필요가 있다아
◦ 제한적 교류시기에 있어 또 하나의 중요한 대상지역은 신의주이다. 신의주는 이미 북한이 中國과의 변경무역 및 경제합작을 허용하고 있는 만큼, 남한기업의 中國 단동을 경유한 진출이 가능하다.동북아물류중심지로의발전방안과발전전략에관한연구 , 동북아 물류중심지로의 발전방안과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자연과학레포트 ,
,자연과학,레포트
레포트/자연과학
다. 이 단계에서 나진/선봉은 두만강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초국경적 협력지역인 만큼, 정부나 민간차원에서 적극적인 진출이 시도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