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사옥에 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1 09:00
본문
Download : 공간사옥에 대해.hwp
현재는 장세양이 설계한 지상 5층 2층의 또 다른 증축 건물이 완공되었다.
공간사옥은 구관의 경우 3.6m, 3m의 모듈을 가지며 3줄의 벽체가 조적조 구조로 남북방향으로 길게 구성되어 있고 신관은 기둥식 구조와 조적식 구조를 혼합하여 6.6m, 2.4m의 스판을 기본으로 이루어져 있따 신관을 증축하면서 구조상 구관과의 연결을 위하여 생긴 너비 3.3m의 구조체는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중정을 가로지르며 구관쪽 회의실의 북쪽창을 막음으로서 결과적으로 구관에서 외부중정과의 시각적 연결을 차단한다.
공간사옥 개요
공간사옥은 김수근의 설계로 1971년 6월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구관이 착공되었고 1975년 5월 신관의 증축이 이루어져 1977년 4월 신관이 완공되었으며 후에 신관과 구관을 잊는 bridge를 4층에 두었다.
공간사옥에 대해
[건축]공간사옥에대한
,공학기술,레포트
Download : 공간사옥에 대해.hwp( 97 )
공간사옥에 대해 적은 글입니다. human scale과도 관련을 갖는 잘게 쪼갠다는 의미의 우리말에서 생긴 이 의미는 벽돌을 사용함으로서 공간의 문제만이 아닌 공간을 둘러싸는 재료의 선택에서도 일관되게 적용한 것으로 이해된다
일반적 공간구성 characteristic(특성)
김수근이 고려했던 槪念은 human scale, 박복된 긴장과 이완에 의한 공간의 sequence(a group of things arranged in an order, following one another in time), 재료 자체의 질감을 그대로 노출시킴으로서 지나친 단장의 배제, 명확한 층의 구분이 없는 split level, 한정적 공간구획의 회피를 위한 solid wall의 사용이라고 할 수 있따 그러나 이러한 槪念의 내면에는 human scale의 사용, 모호한 경계설정에 따른 공간경험의 애매성과 우연성의 유발, 공간 속에 투영된 실존의 상태에서만이 인지 가능한 …(투비컨티뉴드 )
공간사옥에 대해 적은 글입니다. 김수근 작품을 건물에 사용된 재료에 따라 회벽돌, 붉은 벽돌의 시대 등으로 나누는데 공간사옥에선 구관의 경우 전 벽돌을, 신관에선 검을 벽돌을 사용하고 있따 이러한 벽돌 재료의 사용은 70년대 초에 대두된 ‘자갈리즘’과 연관을 갖는다. [건축]공간사옥에대한 , 공간사옥에 대해공학기술레포트 ,
설명
레포트/공학기술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