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싸학] 정중부와 경대승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18:28
본문
Download : [역사학] 정중부와 경대승.hwp
나중에 경대승의 뒤를 이어 무인정권을 잡 는 이의민은 그들보다 높은 별장(別將:정7품)의 직위에 있었으나 천 민 출신이기에 주모자로 가담하지 못했다. 사회 구성원 누구에게나 각자 맡은 바 임무와 역할이 있다.
문신의 극심한 전횡과 무인에 대한 差別(차별) 대우에서 비롯된 무신정변 주도세력은 형식적인 대표집단과 실질적인 주도층, 행동대원층으로 나눠볼 수 있는데, 정중부는 얼굴마담 격이었다. -정중부/ 개혁에 뜻없이 무임승차, 권력남용 심해 화-
순서
무신정변의 실질적인 주모자이자 주도적인 역할을 한 인물은 이고․ 이의방 등이다. 자신들은 술 한 잔도 못하면서 문신들을 호위해야 하는 처지가 한스러웠다. 그들은 산원(散員:정8품)이란 하급장교였다. 그 책무 를 충실히 수행하는 게 가장 바람직하다. 나름대로 특권을 누리던 그로선 급격한 사회 변동을 원하지 않았다.
[歷史학] 정중부와 경대승
설명
우리 歷史에서는 현대말고도 중세에 무인들이 집권한 때가 있었다. 고려시대 무인정권이 바로 그것이다. 그들은 대개 천민 출신이거나 병졸이다. 특히 무인정권 초기에 이런 양상은 극에 달했다. 결국 정변을 모의한 뒤 정중부를 대표로 끌어들였다. 지금으로 따지면 중대장급 정도다. 때문에 정 변 참여에 소극적이었다. 그는 비록 무인 이었으나 대장군(종3품)이란 고위층 인사였다. 당시는 사리사욕에 의한 이전투구가 심했다. 난세를 등에 업고 입 신양명해보려는 무인들이 행동대원으로 나섰다. 대장군은 지금의 참모 차장에 해당되는 직책으로 군에서 제2인자라 할 수 있다. 자신의 전문분야가 아닌 타 분야에 함부로 뛰어들면 자칫 혼란만 초래하기 십상이다. 잘한 점도 있지만 부작용이 적지 않았다. 군부 실력자 정중부와 경대승은 첨예하게 대립했다.
Download : [역사학] 정중부와 경대승.hwp( 63 )
[역싸학] 정중부와 경대승 - 대학 보고서 제출
정중부와 경대승
![[역사학] 정중부와 경대승-5333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C%97%AD%EC%82%AC%ED%95%99%5D%20%EC%A0%95%EC%A4%91%EB%B6%80%EC%99%80%20%EA%B2%BD%EB%8C%80%EC%8A%B9-5333_01.gif)
![[역사학] 정중부와 경대승-5333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C%97%AD%EC%82%AC%ED%95%99%5D%20%EC%A0%95%EC%A4%91%EB%B6%80%EC%99%80%20%EA%B2%BD%EB%8C%80%EC%8A%B9-5333_02_.gif)
![[역사학] 정중부와 경대승-5333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C%97%AD%EC%82%AC%ED%95%99%5D%20%EC%A0%95%EC%A4%91%EB%B6%80%EC%99%80%20%EA%B2%BD%EB%8C%80%EC%8A%B9-5333_03_.gif)
![[역사학] 정중부와 경대승-5333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C%97%AD%EC%82%AC%ED%95%99%5D%20%EC%A0%95%EC%A4%91%EB%B6%80%EC%99%80%20%EA%B2%BD%EB%8C%80%EC%8A%B9-5333_04_.gif)

다. 무인정권은 의종 24년(1170)에 정변을 통해 세워진 뒤 원종 11년(1270)까지 꼭 100년 간 유지됐다. 정변 주모자들은 문신들이 술 마시고 놀면서 자신들을 무시하는 모습에 분개했다.
[역사학] 정중부와 경대승 - 대학 레포트 제출자료
-경대승/ 개혁 실천에 적극, 젊고 지지기반 없어 실패-
[역싸학] 정중부와 경대승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우리 현대사는 본연의 자세에서 벗어난 정치군인들의 집권으로 얼룩 졌다 해도 지나치지 않다. 조원정․이영진․석 린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